|
보통 앞무릎 통증이 발생하면 슬개골과 대퇴골 사이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관절연골이 물렁해지거나 마모가 일어나는 연골연하증이나 슬개골에 부착되는 슬개건염 또는 대퇴사두근건염을 생각할 수 있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최정윤 교수는 "슬개대퇴관절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무릎관절 굴곡 각도가 증가하면 더 커지게 되며, 무릎을 굽히는 자세의 운동을 과하게 하는 경우 이러한 앞무릎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헬스장에서 하는 스쿼팅(squatting)과 레그 프레스(leg press), 빠른 속도로 달리는 운동을 갑작스럽게 하는 경우 슬개대퇴관절에 무리가 되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큰 조각의 연골이 갑작스럽게 떨어져 나가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나 매우 드물며, 대부분의 슬개대퇴관절 통증의 경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슬개골과 대퇴골 사이의 압력은 체중에 비례해 발생하므로 과체중의 경우 체중 조절이 필요하며, 슬개대퇴관절의 압력이 증가하는 상황을 되도록 피해야 한다.
최정윤 교수는 "슬개대퇴관절의 통증은 외래에서 흔히 보는 질병이며 급성으로 삼출액 증가가 동반된 경우는 연골 결손을 의심해 MRI 촬영이 필요하나, 삼출액 증가가 없고 증상이 오래된 경우는 이학적 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수술 가능성이 매우 낮아 MRI 촬영 없이 위에 설명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