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상욱 교수, 로봇수술로 고령 환자 양측성 신장암 동시 수술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3-04-12 10:10 | 최종수정 2023-04-12 10:10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비뇨의학과 이상욱 교수가 로봇수술로 고령 환자의 양측성 신장암을 동시에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74세 남성 A씨는 양쪽 신장에 각각 5㎝, 1.7㎝ 크기의 종양이 발견돼 순천향대 부천병원을 찾았다. 신장은 혈관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과다 출혈 위험이 크고, 환자인 A씨가 고령이기에 장시간 수술 및 마취 부담이 있었다.

이상욱 교수는 종양을 신속·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고 회복이 빠른 로봇수술로 A씨의 양측성 신장암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신장은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 200ℓ가 넘는 혈액을 거른다.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체내 노폐물이 쌓이고 무력감, 오심, 구토, 전해질 불균형, 빈혈, 고혈압, 전신 부종 등이 생길 수 있다. 신장이 90%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하면, 투석 치료를 하거나 신장 이식을 받아야 한다.

양측성 신장암의 경우 대부분 양측을 동시에 수술하지 않고 한쪽을 먼저 수술한 뒤 약 4주 뒤 반대쪽을 수술한다. 하지만 이상욱 교수는 고령의 환자에서 연속 마취의 위험을 줄이고 신장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로봇수술기를 이용해 양측 신장암 수술을 동시에 시행했다.

종양 크기가 4㎝ 이상인 왼쪽 신장은 '근치적 신장 절제술'을, 오른쪽 신장은 '부분 신장 절제술'을 시행했다. 오른쪽 신장은 신장 혈관을 겹자로 잡아 일시적으로 피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종양만 제거해 신장 기능을 살렸다.

이상욱 교수는 "로봇수술기는 사람 손과 유사한 관절이 내장되어 있어 정교하고 신속한 수술이 가능하다. 수술 진행 시 다른 장기 및 신경 손상이 적기 때문에 출혈과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 특히 과다 출혈 위험이 높은 신장암 수술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어 "또, 로봇수술은 3D 영상으로 입체적인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수술 부위를 최대 15배까지 확대해 정밀하게 확인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0.8㎝ 작은 구멍을 통해 수술하기 때문에 상처가 작고 출혈량도 적어 합병증 우려가 큰 고령 환자임에도 양측성 신장암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상욱 교수는 로봇수술로 고령 및 특이 비뇨기암 환자에게 새 삶을 선물해왔다. 지난해 경인 지역 최초로 로봇수술로 '21㎝ 초거대 신장암'을 치료했으며, '로봇수술 통한 초고령 환자 신장암·요관암 동시 치료 성과'를 SCI(E)급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바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상욱 교수, 로봇수술로 고령 환자 양측성 신장암 동시…
이상욱 교수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