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추적관찰 기간의 새 기준이 제시됐다.
연구팀은 유방암을 호르몬 수용체와 HER-2 표적 단백이 둘다 있는 경우(루미날B), 호르몬 수용체만 있는 경우(루미날A), HER-2 표적 단백만 있는 경우(HER-2 양성), 둘다 없는 경우(삼중음성)의 4종류의 아형에 따른 재발과 생존률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전체 유방암 환자 중 12.3%에서 재발이 일어났으며, 수술 5년 이후에 재발한 환자는 그중의 19.7%로, 재발환자 5명 중 1명이 5년 이후에 재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5년 이후 재발한 환자의 78%가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환자로 나타나 삼중음성 유방암, HER-2 양성 유방암에 비해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후기 재발 비율이 높다는 것이 규명됐다.
정승필 교수는 "암 진단후 5년이면 산정특례가 만료되어 많은 환자분들이 완치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며 "5년 이후에도 재발과 전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장기간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라고 강조했다. 또, "유방암은 여러 아형이 존재하는 복잡한 질병이기 때문에 환자별 상황을 고려하여 재발을 막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며 "고위험 환자의 경우 항호르몬제를 5년이후 10년까지 복용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외과학회지(ASTR,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한편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자문의사로 활약 중인 정승필 교수는 유방암의식향상,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공로로 보건복지부장관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명의가 추천한 유방암 수술 명의에 선정되는 등 환자 뿐 아니라 동료의사들에게도 인정받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