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불린산은 바이오매스(에너지원 등으로 사용되는 생물)에서 유래한 당 성분의 최종 산화물 형태로, 바이오 항공유와 같은 수송용 바이오 연료와 바이오 플라스틱의 중간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레불린산 생산과 관련한 연구에서는 주로 꼬시래기·모자반 등 식용 해조류를 원료로 사용했던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일종인 옥수수속대를 이용해 레불린산 생산 수율 20%를 달성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진은 산촉매 농도, 반응 온도, 시간 등을 통계학적 방법으로 최적화해 옥수수속대 유래 레불린산 생산 수율을 최적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바이오 항공유는 2020년 전체 항공유 가운데 약 0.01%를 차지하는데 불과했지만 2070년에는 35%까지 그 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선 박사는 "성장 과정에서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탄소 중립형 원료로 주목받는 바이오매스 중 농업폐기물을 원료로 활용했다"며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