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이하 거식증 환자가 최근 5년새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전체 식이장애 환자 10명 중 8명 가량이 여성으로, 최근 5년간 여성이 전체 폭식증 환자 1만7778명 중 88.8%(1만5795명 ), 전체 거식증 환자 1만3368명 중 74.0%(9894명 ), 전체 기타 식이장애 환자 2만107명 중 79.9%(1만5888명 )를 차지했다.
식이장애 여성 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 전체 여성 폭식증 환자 1만5795명 중 39.7%(6271명 )가 20대 였다. 이어 30대 21.7%(3427명 ), 40대 12.7%(2008명 ) 순 이었다. 2018년 대비 2022년 증가율도 20대가 46.9% 증가하며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10대 이하 18.9%(1874명 ), 20대 12.4%(1228명 ) 순 이었다. 특히 10대 이하 거식증 환자는 2018년 대비 2022년 97.5% 증가하며, 다른 연령대보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기타 식이장애 환자는 최근 5년 전체 1만5788명 중 53.1%(8443명 )가 70대 이상이었다.
이어 20대 14.7%(2375명 ), 30대 9.0%(1431명 ) 순 이었다. 2018년 대비 10대 이하 기타 식이장애 환자가 69.2% 증가하며,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거식증 환자와 식이장애 환자에서 70대 이상의 비율이 높은 것은 식욕 부진을 호소하는 비특이적 의학적 노인 질환을 앓는 고령층의 진료도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신현영 의원은 "최근 미디어를 통해 잘못된 식습관 문제를 공유하는 젊은 여성들이 많아지고, 마른 몸을 동경하는 '프로아나 신드롬'이 확산되고 있다"며 "외모지상주의의 여파로 왜곡된 신체이미지 인식이 과격한 다이어트로, 과격한 다이어트는 섭식장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바른 건강정보 전달을 위한 SNS 와 포털사이트 등 미디어의 순기능을 강화하고 식이장애 증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접근과 포괄적인 해결방안 마련을 위해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과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