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겪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 관절 질환을 꼽을 수 있다.
서울예스병원의 양재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실제 겨울철에는 무릎이 부은 증상을 호소하며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다"며 "무릎이 붓는 증상의 원인은 퇴행성 관절염 외에도 활액막염, 연골판 손상이나 인대 손상 등 다양하기 때문에 무릎이 붓고 통증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무릎이 붓는 증상은 관절 내 염증이 생기거나 손상된 무릎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활액이 과다 분비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관절 내부에 고여 이른바 무릎에 물이 차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무릎이 부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세균 감염이나 활액막 자체에 염증이 나타나는 경우, 통풍성 관절염으로 인해 발병된다. 무릎이 붓고 열이 나며, 심한 경우 체온이 올라간다. 무릎 주변까지 뻐근하고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활액막에 염증이 생기면 관절 조직이 떨어져 관절 안을 돌아다니는 작은 유리체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그대로 방치하면 관절부종의 염증작용으로 인한 연골손상뿐 아니라, 유리체가 연골을 손상시켜 퇴행성 관절염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활액막염은 약물복용과 주사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증세가 심할 경우 0.5㎝ 미만의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활액막절제술을 시행하면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을 때도 무릎 부종이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 뾰족해진 뼈 끝 부분이 주변 힘줄이나 인대, 관절낭 등을 찔러 염증을 일으킨다. 이때 염증으로 인해 활액이 과다 분비돼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퇴행성 관절염 초·중기 환자의 경우 줄기세포를 활용한 연골재생치료를 시행한다.
대표적인 줄기세포 치료는 두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카티스템으로 알려진 줄기세포 치료법이다. 태아의 제대혈에서 유래한 성체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한 성체줄기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릎관절 연골 재생 치료제를 사용하며 나이에 상관없이 시술이 가능하다. 시술 시간도 30~60분 정도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BMAC으로 알려진 골수흡인농축물 관절강내 주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올해 7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의료기술로 인정받는 골수흡인농축물 관절강내 주사는 환자의 골반에서 골수를 채취해 무릎 연골주사처럼 시행함으로 주사 후 일상 생활이 바로 가능한 강점이 있다.
이 외에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내시경으로 닳은 연골을 정돈하고 뼈 끝을 잘라 다듬거나, 증세가 심하면 연골이 닳은 정도에 따라 근위경골절골술 또는 인공관절치환술을 시행한다.
또한 뼈와 뼈 사이 공간인 관절강에 세균이 침투해 염증이 생기는 화농성 관절염과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도 염증성 질환으로 무릎이 붓고 열이 나는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필수다.
양재우 원장은 "관절 내부의 문제 말고도 무리한 운동에 따른 외상으로 무릎 내 구조물의 이상이 발생해 활액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경우도 있다"며 "대표적으로 반월상연골판 손상, 십자인대 파열 등을 꼽을 수 있는데 관절이 심하게 비틀리거나 꺾일 때, 무릎에 충격을 가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겨울철에는 보행이나 일상생활에서 무릎 관절에 대한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