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주요기업 잉여현금흐름 올 3분기까지 -2.6조원

최종수정 2023-12-14 09:43

최근 2년간 감소세를 보인 국내 주요 기업의 잉여현금흐름(FCF) 누적액이 올해 결국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FCF는 기업이 창출한 수익(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세금과 영업비용, 설비투자액 등 지출(자본적 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의미한다. 기업의 실제 자금 사정과 배당 여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쓰인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상장사 중 3년 비교가 가능한 265곳의 개별 기준 FCF를 조사한 결과, 올해 1∼3분기 총누적액은 -2조578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1년 1∼3분기 56조6987억원에서 작년 동기 2조5782억원으로 급감했던 연간 FCF 누적액은 올해에는 지난해 대비 5조1569억원이 또다시 줄어 마이너스가 됐다. 올해 영업활동현금흐름 누적액은 82조3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데 그쳤으나, 같은 기간 자본적 지출 누적액이 84조5818억원으로 7.4% 증가한 결과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업종의 FCF가 3분기까지 누적 17조3531억원으로 가장 양호한 재무 성과를 보였다.

기아(7조2480억원)가 작년 동기 대비 76.4% 증가해 4위에서 1위로 순위가 상승했고, 현대자동차(6조269억원)도 546.9% 늘어 작년 동기 18위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계열사 현대모비스(2조7040억원)도 일반 기업 중 3위이자 통합 4위에 이름을 올렸다.

1조원 이상 FCF 누적액을 보인 기업은 모두 18곳이고 이 가운데 일반 기업이 9곳, 금융사는 8곳, 공기업은 1곳이었다.

공기업 중 FCF 누적액이 가장 많은 곳은 한국가스공사(4조8584억원)였다. 금융기업 중에서는 KB금융(2조942억원), 카카오뱅크(1조8458억원), DB손해보험(1조8342억원), 하나금융(1조7076억원), 현대해상(1조6876억원)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조사 대상 265개 기업 중 FCF가 증가한 곳은 153개사(57.7%)로 절반이 넘었으나, 반도체 산업 불황으로 삼성전자(-7조8785억원)가 큰 폭의 감소를 보인 영향으로 전체적으로는 부진했다. 삼성전자의 FCF는 작년 동기 대비 11조8238억원 줄어 감소 규모가 가장 컸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