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EV 비보유자가 더 부정적..전기차 보조금 2022년 수준 확대해야

카가이 기자

기사입력 2024-06-11 08:24

사진제공 : 카가이(www.carguy.kr)

전기차 보조금을 2022년 수준으로 확대하고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 개선 활동이 이어져야 국내 전기차 생태계가 유지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1일 ‘전기차 수요확대를 위한 소비자 인식개선 방안’ 이라는 주제로 전문가들이 참여한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를 개최했다.KAMA 강남훈 회장은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인한 전동화 전환 동력 상실을 막기 위해서는 향후 2~3년 동안 전기차 보조금 확대 등의 대책이 필요하고 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도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지난해 16만2천대 판매로 주요 자동차 시장 중 유일하게 전년(16.4만대) 대비 1.1% 감소한 역성장을 보였다. 특히 올해 1~4월에는 작년 동기 대비 26% 이상 감소해 전기차 시장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그는 이어 “ 전기차 수요 부진이 지속될 경우 전기차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전동화 전환 동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 2~3년 한시적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2022년 수준인 승용 600만원, 화물 1,400만원으로 유지하고 충전요금 할인 특례를 부활시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또 “전기차에 대한 일반 국민의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도 매우 중요하다”며 “실제로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 충전 불편과 같은 부정적 인식 등 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비사용자가 사용자보다 더 크게 느끼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날 행사에서 전기차사용자협회는 2023년 말 이볼루션과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전기차 보유자 128명, 비보유자 401명 등 총 529명,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26%p) 결과를 발표했다.


전기차사용자협회 김성태 회장은 “전기차 사용자보다 비사용자의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조사 결과를 보면 전기차 경험 만족도(만족하는 편, 매우 만족)는 보유자가 90.6%, 비보유자는 67.4%에 불과했다. 아울러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EV 비보유자)을 보면 화재, 급발진 등 부정적 기사 54.5%, 충전인프라 부족 48.3%, 장거리 운행 애로 34.1%로 나타났다.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 화재 및 급발진 사고 빈도가 더 높다에 대한 인식 역시 EV 보유자가 24.2% 인데 비해 비보유자는 55.2% 배 이상 높았다.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필요한 해결책으로는 안전 불안감 해소 23.4%, 배터리효율 및 주행거리증가 18.3% 충전인프라 확대 17.2%로 조사됐다.

전기차 비보유자의 구매고려 요인 중 보조금 등 금전적 혜택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됐다.전기차 구매 또는 구매를 고려한 요인으로 보유자는 충전비용의 경제성 및 유류비 절감 61.7%, 비보유자는 보조금 등 금전적 혜택이 있어서가 37.8%에 달했다.

이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연제 교수는 “전기차 총 운영비용을 분석한결과 2021년 기준으로 전기차 운영비용이 내연기관차대비 약 650만원 우위인 것을 확인했다"며 “매년 보조금의 지속적 감소, 충전요금 할인특례 일몰(22년7월) 등으로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자동차안전연구원 문보현 책임연구원은 “현재 국내 배터리 안전기준은 국제기준(10항목)보다 많은 12개의 시험 항목을 운영하고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기준을 채택하고 있다”며 “세계 최초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전기차 안전성분야 도입을 통한 전기차 화재 안전성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