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발바닥은 신체의 끝 부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신체의 시작 부분이기도 하다. 특히 발바닥은 지면에 가장 먼저 닿는 부분으로 오래 걷거나 피로해지면 금방 통증으로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원인을 발바닥 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요족의 원인이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주로 유전적 질환, 당뇨, 신경계 질환, 골절로 인한 외상 등으로 인해 발현되는데,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다 보니 대부분 발의 통증이나 피로감이 생겨도 체력이나 신발 문제라고 단순하게 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요족은 지면에 닿는 발의 면적이 좁고 불안정해 발바닥과 발등에 굳은살이 생기고 관절이 뻣뻣해지고 굳어지게 되는데, 이로인해 족저근막염이나 아킬레스건염 등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관절이 쉽게 부딪히는 문제로 발목 관절염까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발에 계속적인 피로감이 느껴진다면, 관절이 뻣뻣해지지 않도록 족저근막이나 아킬레스건을 늘려주는 관절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의 안전과 균형감을 위해 하이힐이나 플랫슈즈와 같은 신발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의료진 처방에 따라 '의료용 깔창'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개인의 발 상태에 맞춰진 '의료용 깔창'으로 발바닥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럼에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구축된 발의 근위지골의 골두 및 경부를 절제한다. 또한 변형을 일으키는 중족골이나 중족부의 절골술을 통해 뼈의 길이를 줄여주고 근육의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해 건 이전술이나 연부조직 유리해 균형을 맞춰주는 수술도 이루어질 수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