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고대구로병원 산부인과 신정호 교수가 세계 최초로 '단일공(SP) 로봇 천골질고정술 300례'를 돌파했다.
여성의 일생 중 골반장기탈출증으로 수술을 받을 확률은 9명 중 1명(11%)일 정도로 흔하다. 특히 폐경 이후 노화가 진행되면서 증상이 악화되므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증가하고, 70대 초반 환자들이 가장 많이 수술을 받는다. 하지만 수술 이후에도 3명 중 1명은 재수술을 받을 정도로 재발이 잦은 편이었는데 다른 수술법들이 대부분 15~45% 정도의 재발률을 보이는데 비해, 천골질고정술의 재발률은 5%내외로 재발률이 상당히 적다.
과거에는 개복수술이나, 복강경 수술을 통해 진행됐는데 이들 수술방법은 절개 부위가 크거나, 구멍을 몇 개만 뚫고 진행하더라도 4~5시간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체력이 약하고 만성질환을 앓는 고령 환자에게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단일공 로봇수술기로 수술하면 수술시간이 3시간 가량으로 단축되어 기존 수술법 보다 마취 시간이 3분의 1 가량 줄어들고 절개부위도 3㎝ 정도로 작아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훨씬 적기 때문에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이에 앞서 글로벌 로봇수술 장비 기업은 고대구로병원을 세계 최초로 '단일공(SP) 산부인과 로봇수술 교육센터'로 지정했다. 신 교수로부터 수술법을 교육 받기 위해 산부인과 전문의들이 고대구로병원을 방문하고 있으며, 이번에 세계 최초로 '단일공(SP) 로봇 천골질고정술 300례'를 돌파하며 부인과 로봇수술 명의로서의 명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