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대 수명의 급격한 증가와 마취 기술의 발전으로 수술을 받는 고령층의 전신마취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혈액검사로 수술 후 섬망(POD : Postoperative Delirium)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수술 전에는 치매 징후가 전혀 없었던 65세 이상 고령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전신마취 수술 직후 혈액을 채취해 검사하고 3일간 섬망 발생 여부를 관찰했다. POD는 수술 후 5일째까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술 후 2일에서 3일 사이에 최고조에 달하고 특히 고령의 경우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연구팀은 혈액검사에서 치매의 생체표지인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OAβ)를 측정했으며, POD 증세를 보인 31명과 POD가 없었던 31명을 알츠하이머병 유전자(APOE4) 영향을 고려해 비교했다.
그 결과 섬망 발생 환자들은 혈중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의 수치가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섬망 증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