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봄은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게는 고통스러운 시기이다.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 털, 곰팡이 등 다양한 알레르겐이 원인이다.
콧물과 재채기 등 주요 증상이 코감기와 비슷하지만 두 질환은 발병 원인부터 다르다. 알레르기 비염은 코점막이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며 나타난다. 반면 코감기 원인은 바이러스다.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 재채기와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이 주 증상이며 이외에 눈이나 코 가려움, 눈 충혈, 두통, 후각 감퇴 등 증상이 동반된다. 반면 코감기는 인후통, 몸살, 발열 등 전신 증상이 일반적이다. 단순 감기로 오인해 감기약만 복용하거나, 방치하면 합병증 또는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 2주 이상 콧물이 나오거나 봄철 같은 특정 계절 환경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진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야 한다.
일반적인 치료제는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항히스타민제가 대표적이며, 원인 알레르겐 (알레르기 원인 항원) 을 소량부터 차츰 농도를 높여 투여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요법과 수술요법 등이 있다.
주변환경 관리도 중요하다. 알레르기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청소, 세탁이 필요하다. 또한, 카펫, 담요 사용은 삼가야 하고 꽃가루가 날리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외출을 피해야 한다. 건조한 환경은 증상 악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실내 온도 20~22도, 습도는 50~60%로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류찬 전문의는 "알레르기 비염은 정확한 원인 파악이 중요하며, 면역글로불린E 검사와 피부 반응 검사로 알레르겐을 확인하고 증상에 맞는 약물 치료와 환경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