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여정 담화' 평가 등 북한 문제·한미정상회담 개최 일정도 조율할 듯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막바지 관세협상을 벌이는 것과 맞물려 정부가 총력전에 나선 모양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제시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8월 1일) 직전에 열리는 이번 회담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 국방비 증액을 비롯한 한국의 한미동맹 기여 방안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미국이 관심을 가질만한 국방비 증액, 미국산 무기 구매 등 안보 의제에서 성의를 보여 관세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두 장관은 첫 대면인 만큼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방안, 북한 문제, 역내·글로벌 정세 등 각종 현안에 대해 두루 의견을 교환할 전망이다.
특히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최근 대미 메시지에 대한 평가와 대응 공조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 부부장은 29일 공개된 담화에서 미국을 향해 비핵화 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북미 정상 간 관계가 나쁘지 않다며 다른 목적의 대화에는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 부부장이 한국을 향해서는 "마주 앉을 일 없다"고 선을 그은 상황이라 일각에선 북미 대화 시 '한국 패싱'(한국 소외)을 우려하고 있어 한미 공조가 절실하다.
두 장관은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개최를 추진하고 있는데, 일단 관세협상이 마무리된 뒤에 가닥이 잡히리라는 관측이 많다.
조 장관은 방미 기간 앨리슨 후커 미 국무부 정무차관과 의회·싱크탱크 관계자 등도 만날 것으로 보인다. 후커 차관은 트럼프 1기 당시 백악관에서 대북 협상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kit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