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김지연 기자 = 한국과 미국이 상대국에 두는 대사가 없는 상황이 길어지는 가운데 '양국 대사 없는 한미정상회담'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모양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국과 무역 협상 타결을 발표하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위해 2주 내로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고, 양국은 워싱턴DC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했다.
현재 양국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2주 내'보다는 늦은 이달 하순 정도가 유력한 회담 시점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처럼 한미 정상회담이 임박했지만, 그 전에 양국에 주재할 대사가 부임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주미대사 없이 한미정상회담이 열리는 건 전례를 찾기 어렵다.
2023년 4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한 달 정도 앞두고 당시 조태용 주미대사가 국가안보실장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곧바로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주미대사로 내정돼 회담 열흘 전쯤 부임할 수 있었다.
미국의 경우 통상 아그레망(주재국 동의) 부여에 4∼6주 정도 걸리는 데 당시는 대통령의 방미 일정과 맞물려 이례적으로 짧은 일주일 남짓 만에 절차가 완료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 주미대사가 내정된다고 하더라도 이달 말 회담이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2년 전보다 시간이 더 빠듯하다. 현재 주미대사로는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과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의 이름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주한 미국대사는 의회의 청문회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이달 말은 고사하고 연내 부임할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하다.
물론 정상회담은 양국 정상 간 만남인 만큼 대사의 존재가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는 분석이 많다.
한 당국자는 "동맹인 미국과는 각급에서 다양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고 현안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있으며 외교장관 회담까지 이뤄진 상황이라 대사가 없다고 해서 정상회담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으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대사는 상대국에 주재하는 최고 책임자로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시 상대국 고위급과 사안을 조율할 책임과 권한이 있는 만큼 가능한 한 내정과 임명에 속도를 내는 게 바람직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j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