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으로 선정된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에는 네이버, 트웰브랩스, 서울대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과대 산학협력단, 고려대 산학협력단,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참여했다.
이 컨소시엄은 범국민 AI 접근성 확대와 산업 분야 확산을 목표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영상 등 이종 데이터의 통합 이해·생성 등이 가능한 단일 모델(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을 내세웠다.
먼저 성 총괄은 네이버클라우드의 AI 경쟁력으로 풀스택 역량을 내세웠다.
성 총괄은 "풀스택 AI라는 것 자체가 네이버클라우드의 사업 포트폴리오와 똑같다"면서 "AI를 기술, 플랫폼, 서비스까지 이어지게 할 역량이 있는 유일한 회사다"라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프로젝트 목표인 옴니 모델에 대해선 '질문의 편의성' 측면을 강조했다.
그는 "범국민 AI가 되려면 질문을 못 하는 사람의 질문도 받아야 한다"라며 "옴니 모델은 사진, 음성, 스마트글래스 등을 입력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언어 정보 기반인 대형언어모델(LLM)과 달리 지리적 정보, 시청각 자료 등 공감각적인 학습을 하는 게 옴니 모델이다"라고 설명했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하는 멀티모달과 옴니 모델의 차이점으로는 "멀티모달은 (데이터를) 확장하는 느낌이라면 옴니 모델은 처음부터 (다양한 자료를 학습하는) 모델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독자 AI 프로젝트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강점으로는 '기술 자립도'를 꼽았다.
성 총괄은 "특정 분야의 특화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게 아니라 특화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하겠다"며 "저희는 기본적으로 저희 데이터가 아닌 것을 취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범국민 AI 서비스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지난 1차 평가에서는 아이디어 차원으로 설명드렸고 향후 에이전트 관련 준비한 것들, 오디오 관련 준비한 것들 보여드리려 한다"고 전했다.
AI로 제조업 역량을 끌어올리는 데 네이버클라우드가 기여할 수 있는 점으로는 '생산성 향상' 측면이 거론됐다.
성 총괄은 "예컨대 제조 공장 근로자의 스마트글래스 녹화한 내용을 (학습한) 옴니 모델 AI라면 (제조업의) 대체가능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답변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AI플랫폼의 형상은 'AI 에이전트 간 만남'이 될 전망이다.
성 총괄은 "최종적으로 사람마다 AI 에이전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부의 AI 에이전트, 기관의 AI 에이전트가 있다면 이들이 만날 수 있는 플랫폼이 생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면 의료 AI 에이전트와 법률 AI 에이전트가 있다면 서로 합쳐질 수 없다"며 "해당 AI 에이전트가 독립적으로 살아남는가를 보고 이를 유통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빅테크의 한국 진출에 대해서는 '소버린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성 총괄은 "결과적으로 소버린 데이터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도가 굉장히 상징적인 데이터다"라고 말했다.
성 총괄은 향후 정부의 독자 AI 프로젝트 최종팀 선정에 대해 자신감을 내보였다.
그는 "아직 공개할 수 없는 게 있지만 자신감이 있다"며 "1년 전만 해도 AI가 장난감 같았는데 지금은 장난감 레벨을 넘었다. 네이버 안에서도 (AI에 대한)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buil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