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에서 최근 농기계 사고가 잇달아 농업인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방은 올해 들어 7월 말까지 도내에서 농기계 안전사고로 총 359명의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한 것으로 집계했다. 이 가운데 23명은 숨졌다.
농기계 사고를 기종별로 보면 경운기가 62.4%로 가장 많았고 트랙터 8.9%, 농약살포기 6.7% 등이다.
연령대별로는 70대 34.8%, 60대와 80대 각 26.8%, 50대 6.4% 등이다.
사고 원인으로는 고령 운전자의 조작 미숙, 노후 농기계 사용, 음주·과속 등 안전 수칙 미준수가 주로 꼽혔다.
농기계는 운전자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운행하는 경우가 많아 전복이나 추락 시 기계에 깔려 중상을 입는 사례가 빈번한 만큼 경사로와 좁은 길을 운행할 때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소방은 설명했다.
농기계 안전을 위해서는 작업 전후 안전 점검, 경사로·좁은 길 진입 전 주변 안전 확인, 보호장구 착용, 적절한 휴식, 음주운전 금지, 교차로 신호 준수, 등화장치 점검, 동승 금지 등 기본 수칙을 지켜야 한다.
박성열 경북소방본부장은 "농기계 사고는 작은 부주의가 곧바로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농기계 사용 전후 철저한 점검과 안전 수칙 준수로 사고 예방에 힘써달라"고 강조했다.
haru@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