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대수·한태수 박사와 경북대 허근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액 속 마이크로RNA를 인공지능(AI)으로 학습시켜 간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진행 단계별 간 질환 전주기 동물모델을 만들어 실제 간암 환자의 혈액 샘플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간암에서 많이 나타나는 8종의 마이크로RNA를 찾아냈다.
이 8종은 건강한 사람이나 간경변 환자보다 간암 환자의 혈액에서 뚜렷하게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어 8종의 엑소좀 마이크로RNA와 기존 알파태아단백(AFP) 수치를 함께 인공지능(AI)에 학습시켜 '다중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 수 있는 지표) 기반 진단모델'을 개발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혈액검사지표인 AFP는 간암뿐만 아니라 간경변 등 다른 간질환에서도 수치가 높게 나타날 수 있어 '위양성'(false positive·가짜 양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실험 결과 간경변 환자와 초기 간암 환자를 95∼100%의 정확도로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한태수 박사는 "AI 기반 다중 바이오마커 모델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입증함으로 앞으로 다른 암종 진단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소량의 혈액만으로도 초기 간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간암 조기 검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