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도·창원시·경남테크노파크·한국수력원자력·에너지기술평가원·재료연구원·전기연구원·두산에너빌리티 등 30개 기관·기업 전문가 40명이 협의체에 참가한다.
협의체는 최근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확정한 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한미 원자력 협력 확대에 따른 기회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원전기업 신속지원센터, SMR 혁신제조 기술개발 경남 워킹그룹과 연계해 기업 지원, 수출 확대, 기술개발 등 3개 분야별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SMR은 출력 300㎿ 이하 전력을 생산하면서 공장 제작, 현장 조립이 가능한 차세대 원전이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원전 주기기 제작이 가능한 두산에너빌리티를 중심으로 원전기업 340여곳이 밀집한 경남도는 국내에서 SMR 기술개발 역량이 가장 뛰어난 곳으로 꼽힌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2026년부터 2031년까지 6년간 2천695억원을 투입해 최단기간에 SMR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자재 국산화, 제조 기술을 확보하는 사업의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를 결정했다.
또 최근 한미 정상회담 직후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수력원자력이 아마존웹서비스, 엑스-에너지와 SMR 사업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한미가 원자력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seam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