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가 거래 비중이 집값 상승세가 가팔랐던 6월 수준을 소폭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가 비중은 2022년 7월(27.9%)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금액대별로는 12억원 초과∼20억원 이하가 31%로 가장 비중이 컸다.
맞벌이 고소득층이나 갈아타기 수요 등 자산 여력이 있는 이들이 매수에 나서며 성북구, 동작구, 성동구, 마포구 중심으로 신고가 경신이 발생했다고 직방은 전했다.
애초 가격대가 높아 규제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희소성이 있는 30억원 초과 아파트도 20%를 차지하며 매수세가 이어졌다.
20억원 초과∼30억원 이하는 19%, 9억원 이하는 18%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61.5%), 용산구(59.5%), 강남구(51.6%)에서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로 거래됐다.
이는 6·27 대출규제 이전 약정된 거래가 토지거래허가 절차를 거치면서 본계약 신고와 시차가 발생한 사례가 일부 반영된 결과로도 풀이된다. 집값 상승이 가팔랐던 6·27 규제 이전 약정된 높은 금액이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기까지 다소 시차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서초구는 총 192건의 매매거래 중 118건이 신고가로 거래됐고, 가격대별로는 30억원 초과 구간이 44%(52건)로 가장 높았다.
반면 중랑구(4.3%), 구로구(3.6%), 성북구(3.6%), 노원구(3.2%), 도봉구(3.1%) 등은 신고가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해 대출 의존도가 높은 실수요자가 많아 규제 이후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으로 이어진 결과라고 직방은 분석했다.
직방은 전날 발표된 부동산 공급대책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공급 확대 의지를 재확인해 시장 불안 심리를 완화하는 신호가 될 수 있고, '착공 기준'으로 실질성을 높여 정책과 시장 간 괴리를 줄이려는 의지가 담겼다"며 "다만 안정 효과는 향후 공급 속도와 수요 관리 강도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puls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