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부산 신백양터널 건설 논란…"중단해야 vs 증설 불가피"

기사입력 2025-09-09 11:20

촬영 오수희 기자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시내 민자 유료도로의 통행료가 상반기 안에 줄줄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부산 백양터널. 2015.2.4 ccho@yna.co.kr


(부산=연합뉴스) 오수희 기자 = 부산시가 추진하는 신백양터널 민간투자사업을 두고 시민단체와 시가 상반된 입장을 보인다.

시민단체는 "부산시가 잘못된 교통량 예측을 근거로 추진하는 신백양터널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시는 "기존 백양터널로는 늘어나는 차량통행 수요를 감당할 수 없어 신백양터널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맞선다.

부산경실련은 9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는 신백양터널 민간 투자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불필요한 도로 건설 계획을 전면 재검토 하라"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부산시는 올해 1월부터 백양터널 통행요금을 무료화하면서 통행량이 4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차량정체 해소를 위해 신백양터널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했지만, 정보공개 청구로 확인한 결과 통행료 무료화 이후 6개월간 교통량은 8.5%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가 잘못된 통행량 예측을 근거로 대규모 민자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예산 낭비와 시민 부담만 가중하고 시 행정과 정책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일"이라며 "신백양터널이라는 대규모 민자사업이 아니라 입구부 차로 확장, 교차로 구조 개선, 스마트 교통관리 도입 등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백양터널 통행료 무료화 이후 지·정체 시간이 4시간에서 10시간으로 늘어나는 패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백양터널과 연결되는 수정산터널 통행료가 2027년 4월 무료화 되고 북항재개발사업과 원도심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마무리되면 백양터널 차량 통행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반박했다.

이어 "백양터널 양방향 진입로가 8∼10차로여서 병목현상이 불가피하고 왕복 4차로인 기존 백양터널로는 늘어나는 차량통행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 신백양터널 건설이 필요하다"며 "통행량 변화 추이는 2년 정도는 지속해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백양터널 민간투자사업은 2천516억원을 들여 부산 부산진구 당감동과 사상구 모라동을 잇는 관문대로에 3.58㎞짜리 터널을 새로 짓는 것이다.

기존 백양터널 바로 옆에 신백양터널이 완공되면 도로 폭은 기존 왕복 4차로에서 7차로로 넓어진다.

osh9981@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