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수출입은행의 한계기업 여신 규모가 4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 규모도 1조2천억원을 넘어섰다.
한계기업은 심각한 경영난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낮아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한계기업은 총 141곳으로, 대기업이 15곳, 중견기업이 73곳, 중소기업이 53곳 등이었다.
한계기업 여신 잔액은 대기업이 2조4천45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이 1조2천853억원, 중소기업이 1천718억원 등의 순이었다.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수출입은행이 돈을 빌려준 기업 중 87곳이 구조조정 중이며, 자율협약 2곳, 워크아웃 6곳, 회생절차 23곳, 파산 6곳 등으로 집계됐다.
건전성 지표도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수출입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천213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89% 수준이다.
연도별 부실 발생 금액은 2021년 1조1천90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2천776억원, 2023년 6천668억원, 2024년 2천223억원 등으로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올해 들어 8월 말까지는 114억원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대출 연체율은 반등 조짐을 보인다.
연도별 연체 잔액은 2021년 말 1조759억원에서 2022년 말 6천846억원, 2023년 말 3천365억원 등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다 2024년 말 3천592억원으로 늘었다.
올해 8월 말 잔액은 4천659억원이었다.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1.39%, 2022년 말 0.79%, 2023년 말과 2024년 말 각 0.40% 등으로 낮아지다 올해 8월 말 0.53%로 올랐다.
박성훈 의원은 "과도한 한계기업 여신과 연체율 반등은 잠재적 부실 확대의 신호"라며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hanj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