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경남지역 대학 총학생회장단 학생들이 15일 도에 다양한 청년정책을 제안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 학생은 기업-대학-지자체 협력을 통한 지역기업 인턴십, 취업연계 프로그램 확대를 요청했다.
박 지사는 "기업과 학생 간 미스매치가 크다"며 "기회가 된다면 행정이 중개역할을 맡아 학생, 경제계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다른 학생이 대학과 연계한 창업공간 등 청년창업 허브 설립을 제안하자 박 지사는 "창업 거점 간 정보 공유·연계를 강화해 실질적 지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주거비 부담을 낮춰 달라는 건의도 있었다.
박 지사는 "현재 시행 중인 청년월세 지원사업을 대학생에게도 더욱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참석 학생들은 원스톱 장학제도 지원체계 마련, 청년 맞춤형 정주 프로그램 제공, 청년 문화시설 확충·문화행사 확대 등도 요청했다.
박 지사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배우고 취업하며 정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도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중앙정부 중심의 대학 지원에서 벗어나 지역이 스스로 필요한 인재를 길러내는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대학이 산업현장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면 대학도 발전하고 지역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는 이날 간담회에 나온 청년 목소리가 실제 정책에 반영되도록 제안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지역 대학생들과 소통 창구를 상시 운영할 예정이다.
간담회에는 경상국립대, 국립창원대, 진주교대, 경남대, 인제대, 창신대, 도립남해대, 김해대, 연암공대, 가야대, 부산장신대, 영산대, 동원과기대, 마산대, 진주보건대 총학생회장단이 참석했다.
seaman@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