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은 대만에 이익"…中관영 신화통신, 이틀 연속 필명 보도

기사입력 2025-10-28 11:22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통일 이후 애국자의 통치 아래 자치권 보장할 것" 주장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이 대만 광복 8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자마자 관영매체를 통해 통일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필명 기사를 연이어 내보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국에서 만나 대만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중국 당국 차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문의 기사가 통일의 이점을 조목조목 설파해 눈길을 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27일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발전과 통일의 이익'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중타이원'(鍾台文)이라는 필명으로 내보냈다.

해당 기사는 통일을 하면 현재 대만에서 지출되는 국방비 등의 예산을 대만 동포들의 민생 복지에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논리를 펼치는 동시에 통일 이후에도 대만에서는 자치를 통해 현재 누리는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기사는 "통일 이후 대만 지역의 현행 사회 제도와 생활 방식이 충분히 존중되고 '애국자가 대만을 다스린다'는 원칙 아래 고도의 자치를 실시할 것"이라며 "대만 동포들은 사유재산과 종교신앙 등의 합법적 권익을 충분히 보장받는다"고 강조했다.

'애국자에 의한 통치'는 중국 정부가 일국양제(一國兩制)'를 시행 중인 홍콩과 마카오에 대해 쓰기 시작한 표현으로, 독립을 주장하는 민주화 세력의 반대편에 선 이들을 가리킨다.

또 "양안에서 상품이 장애 없이 유통되면 대만 소비재 가격도 낮아지고 대만 동포들이 대륙을 오가기가 편리해지고 취업·창업의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도 했다.

9천자 내외의 긴 기사 속에서 통일의 정치적 당위성만이 아닌 현실적인 경제적 이익들을 강조한 점이 눈에 띈다.

그러면서 기사는 국가의 통일에는 단순한 형식상의 통일이 아닌 양안 동포가 심적으로 하나가 됐다고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신화통신은 전날인 지난 26일에는 '대만 문제의 유래와 성질'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서기 230년 삼국시대 오나라 심영(沈瑩)이 저술한 '임해수토지'에 남겨진 대만에 관한 최초의 기록부터 대만이 1945년 일본의 제2차 세계대전 패전 후 중화민국에 반환된 것까지 온갖 근거를 나열하면서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주장을 펼쳤다.

약 1만1천자 분량으로 작성된 이 기사는 "대만 동포가 모두 중국인이라는 것은 객관적 사실"이라는 논리로 귀결됐다.

이 기사에도 등장한 필명 '중타이원'을 두고 중국의 대만 담당 기구인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또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산하 대만공작판공실 차원에서 작성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鍾)은 한자는 다르지만 중국의 중(中)과 발음이 같고 '타이'(台)는 대만을 뜻한다.

이 필명은 앞으로 중국이 대만 문제를 논평할 때 사용할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바이라인'이라고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짚었다.

싱가포르의 중국어 매체인 연합조보에 따르면 대만 담강대학 양안관계연구센터 주임 장우웨는 지난 27일 정치대학 국제관계연구센터 좌담회에서 "이 기사는 대만공작판공실 급에서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에 통일의 이점까지 명시적으로 언급해 대만 관련 논의에서 혁명에 가까운 변혁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라면서 "중국의 대만 정책은 더 이상 구호나 일방적 입법 조치에 그치지 않고 국제 무대와 양안의 각 채널을 활용해 대만 내부로의 실제적 침투 시도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왕신셴 대만 국립정치대학 교수는 "중국의 대만 정책은 이미 과거의 '선언' 단계를 넘어 '실행' 단계로 들어갔다"라면서 "대만은 이런 복합적인 방식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24일 대만 광복 기념일을 제정하기로 했다고 발표하고 25일에는 베이징에서 대만 동포들을 초청해 대만 광복 8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suki@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