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튀르키예 참여 여부 쟁점…이스라엘 반대, 美는 찬성"
30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미 당국자들을 인용해 ISF 지원과 각국의 병력 파견을 위한 법적 근거로 활용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 성안 작업이 최근 며칠 사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결의안에는 미국이 ISF의 작전을 감독·감시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ISF를 유엔 평화유지군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소식통들은 ISF 구성에 관한 핵심 결정이 며칠 내로 내려지고, 이스라엘과 참여 후보국들에 몇 주 안에 관련 사항이 제안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미 당국자에 따르면 ISF 구성 계획은 미 중부사령부의 주도하에 수립되고 있다.
이 계획에는 팔레스타인 경찰 부대와 아랍·이슬람 국가의 군대 등으로 ISF를 구성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때 팔레스타인 경찰 부대원들은 미국·이집트·요르단의 훈련 및 신원 조시를 받을 예정이다.
현재까지 ISF 참여 의사를 밝힌 나라는 인도네시아, 아제르바이잔, 이집트, 튀르키예 등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악시오스는 "미국이 ISF 구성 계획 마무리를 위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 구상에 따라 인질·수감자 교환을 골자로 한 휴전 합의 1단계를 거쳐 휴전 합의 2단계에 진입한 상태다.
ISF 구성은 휴전 2단계 이행을 위한 핵심 내용으로 꼽힌다. 하마스의 재건을 막기 위한 다국적군인 ISF의 배치를 전제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추가 철수한다는 게 합의의 골자이기 때문이다.
미 행정부가 ISF 구성을 서두르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휴전 중재' 성과가 빛이 바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스라엘이 최근 가자지구 공습을 재개하며 휴전 합의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ISF 구성 마무리를 통해 약속 이행을 압박하려는 포석이란 분석이다.
다만 이스라엘이 튀르키예의 파병을 반대하고 있단 점은 ISF 구성의 막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기드온 사르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지난 27일 튀르키예가 자국에 적대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며 공개적으로 날을 세운 바 있다.
미국 당국자는 튀르키예는 카타르, 이집트와 함께 하마스에 합의를 설득하고 행동하도록 할 수 있는 최선의 주체라며 튀르키예의 ISF 참여 필요성을 강조했다.
hrseo@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