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위원장직 정리와 거리 멀다"…사퇴론 일축하며 崔 여론 주시

기사입력 2025-10-31 12:34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3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의 사퇴 요구 발언을 듣고 있다. 2025.10.30 ondol@yna.co.kr
국감 종료에 '수습 모드'로 선회…"결혼식은 사적영역, 이래라저래라 못 해"

당 일각서 축의금 논란 등 우려 여전…"말로만 하는 사과로는 해결 안돼"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안정훈 오규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31일 최민희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국정감사 중 자녀 국회 결혼식' 논란 등에 대해 공식 사과한 것을 계기로 수습 모드로 선회하고 있다.

국감이 사실상 끝나고 입법·예산 정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최 위원장의 사과를 계기로 비판 여론이 잦아들기를 기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야당이 요구하는 상임위원장직 거취 정리에는 선을 긋고 있다.

다만 당내 일각에선 사과만으로는 커질대로 커진 논란을 돌파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여전히 나오고 있다.

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당 지도부는 최 위원장 논란을 포함해 올해 국감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겠지만, 그것이 상임위원장을 사퇴시키는 문제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자신이 '국감이 끝나고 다음 주쯤 자연스럽게 최 위원장의 입장 등을 당 지도부와 공유하고 그 내용을 정리하는 시간이 있을 것 같다'고 한 발언에 대해 "그 정리가 과방위장직을 정리한다는 취지하고는 거리가 너무 멀다"고 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결혼식과 관련된 문제는 사적인 영역이고, 당 지도부가 관심을 가지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현시점에서는 지도부 차원에서 추가 조치 없이 당사자인 최 위원장의 사과를 계기로 사실상 논란을 매듭짓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민주당의 이런 입장은 현실적으로 국회 선출직인 최 위원장에게 사퇴를 강제할 수도 없고, 내부적으로는 최 위원장을 엄호하는 지지층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당내에서는 최 위원장 문제를 빌미로 야당의 공세를 허용해선 안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 위원장과 관련 공세를 방어하지 못하면 다음 수순으로 추미애 법사위원장 등에 대한 공세로 번질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원내 관계자는 통화에서 "최 위원장이 직접 사과했고 추가 의혹에 대해선 국감 이후 입장을 밝힌다고 했으니, 그것으로 문제가 마무리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강득구 의원은 페이스북에 한두 달 전 최 위원장이 식사 자리에서 '딸이 정한대로 따라가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적으면서 "제 딸에게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며 "(결혼) 날짜를 조율하지 못한 점이나 확인이 부족했던 점은 분명 아쉽지만, 고의로 산하기관에 알렸다는 비판은 다소 과한 부분도 있다"고 옹호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국민 정서를 자극하면서 커질대로 커진 논란을 이대로 아무 일 없었던 듯이 덮고 갈 수 없다는 의견도 엄존한다.

최 위원장의 사과와는 무관하게 국감 기간 자녀 결혼식 논란, 국감 증인인 MBC 보도본부장 퇴장 명령 논란 등에 대한 비판은 여전하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이 최 위원장을 경찰에 고발하고 권익위원회에 신고하는 등 법적·제도적 절차를 밟아야 하는 등 향후 논란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이번 논란은 아마 쉽게 진화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말로만 하는 사과로는 해결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mskwak@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