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 무관세 기업 공식 인정 절차 밟고 있다"
19일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이렇게 전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있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에 대해 총 2차례에 걸쳐 1만1천ℓ 배양기 6개를 증설, 총 6만6천ℓ를 추가 증설하겠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총생산시설은 13만2천ℓ가 되며 예상 투자 금액은 최대 7천억원이다. 셀트리온은 9월 해당 공장에 대해 일라이 릴리와 4천600억원 규모의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서 회장은 "셀트리온이 무관세 기업으로 공식 인정받는 절차를 밟는 것"이라며 "이번 증설을 통해 미국 정부가 의약품 품목 관세를 발표한 뒤에도 무관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갖추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셀트리온은 미국 정부의 (의약품) 가격 인하 압박과 관세에 대한 요구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덧붙였다. 내년 1월 미국 공장 운영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 계획이라고도 했다.
앞서 지난주 미국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에 따라 한국산 의약품 제품에 대한 관세가 15%를 넘지 않게 했다. 품목별로 제네릭(복제약)은 무관세가 유지되지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관련 사항은 아직 언급되지 않았다.
이날 서 회장은 먹는 '4중 작용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4중 작용 비만 치료제는 1개 약물로 4개 대사·호르몬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해 체중 감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는 "4중 작용제 비반응 비율은 5% 이하, 체중 감소율은 약 25%가 될 것으로 본다"며 "근육 감소 등 부작용을 줄이는 치료제로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올해 4분기 매출에 대해 3분기보다 30% 성장하고 영업이익률은 4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4분기부터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할 이전 영업이익과 셀트리온 영업이익을 두고 경쟁해볼 만할 단계에 들어설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서 회장은 셀트리온홀딩스가 국내외 기업과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3년간 국내 생산 시설 증설에 약 4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도 재차 전했다.
hanju@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