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대한체육회에 대한빙상연맹에 대한 관리단체 지정을 권고했다.
하지만 전명규 전 부회장이 빙상계에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권한도 없이 빙상연맹 업무에 개입한 의혹은 사실로 판단했다. 문체부는 "특정 인물이 연맹 부회장 재임 당시 권한을 남용해 국가대표 지도자의 징계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2014년 3월 빙상연맹 부회장 직위에서 사임한 이후에도 권한 없이 빙상 연맹 업무에 개입했다"고 밝혔다. 2016년 3월, 대한체육회는 조직사유화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회원종목단체의 상임이사회 제도를 폐지했으나, 빙상연맹은 근거에도 없는 상임이사회를 지속적으로 운영했고, 이로 인해 전 전 부회장이 빙상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봤다.
이 밖에 문체부는 국가대표선수 선발과 지도자 임용 과정에서의 부적정한 사례, 경기복 선정 및 후원사 공모 과정의 불투명성, 스포츠공정위원회의 부당 운영, 선배 선수의 후배 선수 폭행 의혹, 업무활동비와 회의 참석 수당의 부당 지급 등 빙상연맹 운영 전반에 있어 "비정상적인 사례들이 다수 확인됐다"고 밝혔다.
노태강 제2차관은 "정관에 근거가 없는 상임이사회를 운영하고 비정상적으로 운영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사유가 된다"고 봤다. 대한수영연맹이 2016년 관리단체로 지정된 후 26개월 가까이 표류한 끝에 정상화된 사례를 들자 노 차관은 "빙상연맹은 다르다.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 관리단체로 지정한 후 조속한 시일내에 정상화되도록 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 했다.
서울정부종합청사=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