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가 가정 내 영유아 아동의 리튬 동전 건전지 삼킴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 홍보 캠페인을 진행한다.
특히, 이물질 중에서 삼킴 후 증상 및 예후가 가장 좋지 않은 것은 리튬 동전형 건전지로 밝혀졌다. 시중에 판매되는 동전형 건전지는 알카라인과 리튬이 있고, 이중 수명이 길어 활용도가 높은 리튬 건전지는 알카라인보다 전압이 두 배나 높아 장기에 손상을 가하기 쉽다.
가장 큰 문제는 삼킴 후 초기 발현 증상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위험성을 간과할 경우 리튬 동전 건전지가 체내에 오래 머물러 장점막에 치명적 손상을 일으킬 확률이 높다.
심정옥 교수는 "기존에 많이 사용된 동전형 알카라인 건전지에 비해 리튬 동전건전지는 합병증 양상이 다르다"며, "특히 영유아의 식도에 걸린 동전형 리튬 건전지는 즉각 제거해야 하는 응급 상황인 만큼 사고 발생 시 즉시 응급실로 데려가 엑스레이를 찍고 후속 조치를 상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의 리튬 동전 건전지 안전 사용 권고 캠페인은, 가정 내 동전형 리튬 건전지 영유아 삼킴 사고 발생 시 유해성을 알리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해당 부모들의 관심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개될 계획이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다방면으로 안전 홍보를 진행함과 동시에, 소속 의료진들과 정보를 공유해 영유아 보호자들이 리튬 동전 건전지 삼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캠페인을 이어 나갈 방침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