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평창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가 평창 시대를 열었다. 20일 오전 평창 주사무소에서 열린 첫 간부회의 장면. 사진제공=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가 본격적인 '평창 시대'를 열었다.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 측은 20일 "지난 19일까지 서울사무소 이전을 순조롭게 마무리 짓고 20일부터 평창 현장 중심 체제로 업무를 전환했다"고 전했다. 조직위는 개최도시인 강원도 평창으로의 사무실 이전에 앞서 올 초부터 직원 이탈 방지대책과 이사지원, 직원복지, 홍보, 정보통신대책 등 분야별 이전대책을 수립해 순조롭게 작업을 마무리 했다. 또 지난해부터 숙소 확보 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했다.
조직위 측은 "국내외 이전 사례를 참고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인력유지를 위해 30개의 이전 과업을 선정, 평창 이전에 따른 서울사무소 직원 이탈 없이 모두 평창으로 옮겨 왔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8월부터 개최도시와의 긴밀한 정보공유를 통해 직원 숙소를 별도로 신축하지 않고 개최도시 내 기존 주택을 활용해 예산을 절감했다. 또한 설상과 빙상경기장이 각각 평창과 강릉으로 분산돼 있는 점을 감안, 사무실과 숙소를 두 지역에 균형 있게 배치함으로써 업무수행의 효율성을 도모했다. 조직위는 이와 함께 지방 근무 여건을 개선하기위해 출퇴근버스를 운영하고 구내식당과 직장동호회, 주말농장을 이용토록 하는 한편 직원들이 현지 지자체의 체육과 복지 등 편의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관계기관과 협의해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조직위 사무소 이전 업무를 담당한 관계자는 "직원들이 평창과 강릉 지역에 정착함으로써 지역 내 물품구입, 음식점 이용, 관광수요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