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학생 딸 아이에게 맞는 운동을 시키고 싶은데, '인바디(체성분 검사)'와 운동처방을 해주는 곳이 있을까요?"
|
|
장애인 누구나 무료 이용할 수 있으며 장애유형별(척수, 시각, 청각, 지적) 체력측정을 통해 자신의 체력 수준을 파악하고, 상담 결과에 따라 맞춤형 운동 처방과 시도 체육회와 연계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안내받을 수 있다. 전화나 장애인체력인증센터 홈페이지로 예약 가능하며, 단체 이용을 희망하는 기관의 경우 신청을 통해 찾아가는 체력측정서비스도 받을 수 있다.
내년 전국 17개 시도 인프라 구축을 앞두고 대한장애인체육회는 12월 장애인체력인증센터 운영 매뉴얼을 발표, 질적인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고 나섰다. 통일된 장애유형별 측정 매뉴얼을 제시, 내년부터 17개 시도가 동일한 기준의 맞춤형 체력측정, 운동처방과 함께 신인선수 발굴을 위한 체계적인 유형별 데이터 수집도 가능하게 됐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현행 4개 장애유형 측정방식을 척수, 청각, 시각, 지적, 지체, 뇌병변, 기타 등 7개 유형 14개 분류로 세분화했다. 척수장애인의 경우 흉수 6번(T6) 미만, T6 이상, 사지마비, 지제장애인의 경우 상지, 하지, 뇌병변의 경우 보행가능, 편마비, 강직성, 보행 제한 등 장애부위 및 정도에 따라 측정방식을 달리 하도록 했다.
|
|
양충연 대한장애인체육회 사무총장은 "올해 장애인체력인증센터 운영 매뉴얼이 개발됐다. 이를 통해 각 지역 장애인들은 체력인증센터에서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맞춤형 체력측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면서 "내년이면 전국 17개 시도 전체에 체력인증센터가 운영돼 장애인 누구나 체력인증센터에 방문해 전문가 상담과 맞춤형 체력측정을 통해 본인에게 맞는 운동처방이 이뤄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체력인증센터에서 축적된 장애인체육인들의 체력정보는 빅데이터가 돼 앞으로 생활체육 활성화 및 선수발굴 육성 등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