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자질 부족일까, 의도적 오심일까.
하지만 놀랍게도 판독 후에도 최종 판정은 '아웃'이 유지됐다. 현장에 있던 한국팬들로부터 야유가 쏟아졌고, 한국 선수들도 펄쩍 뛰었지만 주심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김경문 감독이 이끄는 야구 대표팀은 김재환의 홈런과 양현종의 호투를 발판 삼아 5대1 완승을 거뒀다. 그러나 판정에 대한 논란이 경기중부터 시작됐고, 이튿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공교롭게도 주심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점이 논란을 증폭시켰다. 프리미어12는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주최로 열리지만, 실질적인 주최국이 일본이라는 점은 모두가 알고있는 사실이다. 2020 도쿄올림픽을 대비해 만든 대회다. 2015년 1회 대회에 이어 올해 열리는 2회 대회까지 슈퍼라운드와 결승 등 주요 경기가 모두 일본에서 열리는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또 대회를 움직이는 협찬, 광고 회사들도 모두 일본 기업들이다. 당연히 대회 전반적으로 '일본의 입김'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일본 언론의 대응도 뜨뜻미지근 하다. 오심 논란에 대한 한국의 반응에 주목하면서도, '오심'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았다. 한국-미국전에서 나온 오심에 대한 내용을 일본 주요 언론들은 거의 다루지 않았다. 한 두 매체에서 짧게 언급한 것이 전부다. 현장에 있었던 '풀카운트'는 11일자 온라인 보도에서 "'의혹의 판정' 한국팬들의 야유가 쏟아졌다"면서 "김경문 감독이 비디오 판독을 신청했지만 판정은 뒤집히지 않았고, 장내에서 야유가 일어났다. 김경문 감독은 '판정 결과가 나온 이상 깨끗이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한국 반응을 전했다. 이어 "프리미어12 공식 SNS 계정에서도 한국팬들은 '세이프 아닌가?'라는 많은 의견을 내고있다"며 현상의 흐름에 주목하는 내용을 실었다.
'서일본스포츠'도 11일자 현장 온라인 보도에서 "김하성이 쌍수를 들고 불만을 표출했고, 김경문 감독도 뭔가 말을 했다. 주심이 벤치에 다가가며 긴장감이 생기기도 했지만, 김경문 감독이 항의의 의도를 부정하기 위해 여러번 손을 흔들어 그 이상의 사태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정도로 보도했다. 일본 언론에서는 해당 판정이 '오심'이었다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다.
일본팬들의 댓글 반응은 조롱에 가깝다. '야후스포츠' 사이트에 개재된 해당 기사들의 댓글에는 일본팬들이 '실제로 아웃 아닌가', '한국은 스포츠를 즐기지 못한다'며 한국의 반응을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내용이 총 2000개 가까이 달렸다. 한 일본팬은 일본어로 "비디오 판독도 모호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심판의 판정으로 원활한 진행을 한다"고 했다. 또 다른 일본팬은 "마운드에 국기를 꽂는 행위를 멈춰달라"며 이번 판정과는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를 남겼다. 해당 댓글은 8700개가 넘는 공감을 받았다.
한·일 무역전쟁과 지소미아 파기 등 양국 간의 감정이 악화일로인 상황. 일본 심판의 명백한 오심으로 촉발된 양국 야구팬들의 감정 골도 깊어지고 있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