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144경기를 치를 수 있는 발판은 마련됐다.
2020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되면서 KBO리그는 큰 짐을 덜게 됐다. 휴식기 없이 시즌을 치르면 144경기 및 포스트시즌까지 11월 안에 모두 소화할 수 있다는 계산. 하지만 10개 구단의 고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새 시즌을 앞두고 구상했던 선수단 운영 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대표 선수 차출, 휴식기 등이 사라진 채 온전히 달려갈 144경기에서 최상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는 방법 찾기가 새로운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휴식기 없는 시즌이 된다면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다수. 주전-백업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강팀들이 갈수록 승수 쌓기 경쟁에서 유리해질 수밖에 없다. 김경문호 예비엔트리에 가장 많은 숫자가 포함된 두산 베어스와 키움 히어로즈는 이런 관점에 가장 근접한 팀들이다. 반면 투-타 불균형을 좀처럼 해결하지 못한 채 물음표를 달고 시즌에 나서는 하위권 팀들에겐 지난해에 비해 더욱 혹독한 시즌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 초반 부진과 부상의 악순환 속에 승률 인플레를 만들었던 한화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와 같은 팀들이 또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올림픽 연기 부작용'을 우려하는 눈길도 있다. 예비엔트리에 포함됐던 젊은 선수들 대부분이 올림픽 출전이라는 동기부여를 안은 채 활약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이런 목표를 잃은 선수를 어떻게 활용하고 다시 동기부여 요인을 만들어주느냐도 각 팀 사령탑의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KBO는 새로운 개막 일정을 앞서 내놓은 정규시즌 테이블에 맞춰 그대로 진행할 계획이다. 당초 개막전이었던 3월 28일부터 새로운 개막전 전까지의 일정은 사라진 도쿄올림픽 휴식기에 추후편성 형식으로 집어넣을 예정이다. 바뀐 개막 일정은 소소한 변화로 볼 수도 있지만, 개막시리즈를 홈이 아닌 원정에서 치르게 되는 팀들에겐 이런 작은 변화가 초반 승수 쌓기 구도의 변수가 될 수 있다.
모든 변수를 피할 순 없지만, 대비는 할 수 있다. 일정 변경으로 복잡해진 10개 구단의 수싸움 역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