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악원이 조선시대 정악 중 최초의 한글 노래인 '용비어천가'를 무대 예술로 꾸민 '세종의 신악'을 송년공연으로 무대에 올린다. 오는 22일(금)부터 12월 27일(수)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
합창과 함께 펼쳐지는 궁중무용은 눈길을 뗄 수 없는 화려함을 자랑한다. 각 장의 주제에 따라 극적 상황을 상징화시킨 창작 무용은 용비어천가의 노랫말에 담겨진 핵심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궁중무용 중 처용무, 몽금척, 문무 등 다양한 종목에서 차용한 무용 동작은 신화 속 공간에서 살아 움직이는 용과 까치 등 갖가지 동물과 자연, 그리고 궁중의식에 쓰여지는 움직임 등으로 형상화되어 극의 전개를 이끌어 간다.
신선희 연출은 "당시의 의례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용비어천가를 쓴 세종대왕이 이 시대 관객들에게 전하고자 한 의미를 살려 새로운 형식으로 선보이고자 했다"며 "천명을 받아 덕치를 해야 하는 군주에 대한 훈계이자 애민정신과 예악사상을 담은 한국 문화정신의 실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중 기자 telos2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