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김혜수가 '소년심판'으로 또 다시 사회에 용기 있는 화두를 던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소년심판'(김민석 극본, 홍종찬 연출)은 소년범을 혐오하는 판사 심은석(김혜수)이 지방법원 소년부에 부임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소년범죄와 그들을 둘러싼 이들의 이야기를 그린 시리즈. 법망을 피해가는 촉법소년들의 이야기와 범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며 글로벌 시청자들의 시선을 모았다. 특히 베테랑 톱배우 김혜수가 주인공인 심은석을 연기하며 몰입도를 높였다.
김혜수는 4일 오전 스포츠조선과 화상을 통해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고 '소년심판'에 담긴 '진정성'을 드러냈다. 김혜수는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에 대한 진정성에 가장 큰 마음을 담았다. 처음 작품을 준비하는 시작점부터 작품이 진행되고 후반작업이 될 때까지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진심을 가지고 한마음으로 임했다. 시청하시는 많은 분들이 그 메시지를 공감해주시고, 실질적으로 저희가 바랐던, 이 작품을 통해 소년범죄나 소년범에 대해 조금 더 고르고 다각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사회적인 인식이 형성이 되는 움직임들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 참여한 사람으로서도 감사드린다"는 인사를 전했다.
'소년심판'은 실제로 사회에 소년범죄에 대해 어른들이, 환경이 취해야 할 자세에 대한 많은 회두를 던져냈다.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게 만드는 드라마라는 평가까지 받았다. 김혜수는 "이 드라마가 작품을 보기 전에는 굉장히 민감한 소재잖나. 어찌 보면 재미로 접근하기에 쉽지 않은 소재나 주제를 다루고 있고, 제가 출연을 했음에도 결심을 하고 봐야 할 것 같다는 느낌이 있으셨단다. 그런데 첫회를 시작하고는 멈출 수가 없었고, 극적인 재미도 있었지만 재미와는 정비례하게 너무나 마음이 무거웠다고 하셨다. 단순 재미가 아닌,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됐다고 하면서 '혜수야. 이 작품에 출연해줘서 고마워. 이런 작품이 만들어져서 너무 감사하다'는 얘기를 저에게 해주시고 제작진에게 전해달라고 했다. 그게 마음이 찡할 정도로 저도 너무 고맙고 감사했다"고 했다.
평소 소년문제에 관심이 많고, 또 직접 재판의 참관을 신청할 정도였다는 김헤수나, 김혜수의 주변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를 시청한 시청자들에게도 '소년심판'은 우리가 이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대화를 나눠볼 만한 주제를 선사했다. 김혜쑤는 "우리 사회가 소년 범죄나 소년범에 대해 관심이 있었고, 관심의 방향에 대해서도, 또 어떻게 보면 이런 가이드가 필요했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제는 단순히 소년범죄, 소년범이나 소년범을 다루는 일선의 법관이나 현장에서 소년범을 보호하고 교화하는 분들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다. 더 늦기 전에 그런 실질적인 것들을 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면서 스스로도 감사했다. 또 저희가 작품을 준비할 때 '절대로 놓치지 말자'고 하고, '그래서 더 재미있게 잘 만들어야 한다'고 했던 초반의 우리의 마음도 기억이 남는다"고 말했다.
김혜수는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6개월을 보내며 철저히 심은석으로 분했다. 그는 "언제나 최선을 다하지만, 이번 작품은 조금 더 솔직히 말씀드리면, 현장에서 서 있을 기운이 없을 정도까지 준비를 하고 나갔다. 그리고 돌아가면 촬영했던 것을 다시 확인하고, 다시 준비하고, 6개월 정도 반복을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버틸 수 있던 것은 작품이 내포한 함의, 메시지였던 것 같다. 사실 심은석에 집중하고 유지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중요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의 피해자이자 비행소년이기도 한 서유리(심달기)를 대하는 판사의 태도에서 심은석과 차태주가 첨예히 대립하잖나. 범죄를 저지른 아이지만, 차태주 입장에선 보호해야 할 피해자다. 그 장면에서 저는 심은석을 유지하고 있지만, 리허설을 하는 과정에서 차태주의 신념을 얘기하는데 심은석은 설득이 되더라도 자신의 스탠스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실제로 제 마음이 흔들려 촬영을 중단하고 부탁을 드릴 정도로 심은석의 신념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 같다. 또 피해자 가족들이 리얼한 연기를 할 때, 심은석으로서 버티기가 쉽지 않았다"고 고백하기도.
|
|
실제로 촉법소년이나 소년범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기 때문에 방송 전후로 생각들도 많이 달라졌고 김혜수 역시 그러했다. 김혜수는 "작품 전에 청소년 범죄자들을 바라보던 입장과 시각이 있었고, 이 작품을 통해 자연스럽게 제가 얻게 된 것이 있었다. 그리고 촬영 후 몇개월 뒤에 드라마 전편을 보며 제 스스로 또 다짐하기도 했다. 우리의 인식이라는 것이 사실은 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 우리의 관심이 일시적으로 가다가 다시 내 일상으로 돌아가며 잊혀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시스템과 어른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됐다. 실제 얘기를 들어보면 재범율도 높지만, 그 이면에 아이들이기에 정말 많이 변하기도 한단다. 이게 바로 청소년 범죄의 다른 점이 아닌가 싶다. 심은석이 극 전반에 보여준 신념과 태도, 차태주가 극 전반에 보여준 상태나 마음의 태도, 법관으로서의 행동에 대한 고민이지 않나 싶다"라고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
|
김혜수 역시 '소년심판'을 거치며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거치는 중이다.
"극중 등장하는 이상적인 부분들이 있다 보니, 실제 김혜수도 그러지 않을까 하는 분들도 많다. 실제 저는 나이에 비해 어른스럽지 않은 부분들이 많다. 내적, 외적으로도 제 태도나 행동에 대해 일관되지 않을 때도 참 많다. 어떤 어른이 돼야겠다는 생각을 감히 하지는 않고, 다만 제가 살아가며 그 순간, 순간 내 앞에 당면한 사안, 내가 관심을 느끼는 대상에 대해 집중하며 저는 최대한 제 스스로 성숙하길 바란다. 이 나이에 아직 저는 그런 단계."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