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적으로 지정된 구역 안에 있던 버려진 공장이 유물을 보관하고 연구하는 공간으로 되살아난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사적 '함안 가야리 유적' 내 폐공장 건물을 새로 단장해 유물 보관소와 발굴조사단 사무실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연구소 관계자는 "철기·목재 유물을 보존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춰 출토 자료를 연구하고, 발굴 장비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발굴 조사는 기간이 정해져 있어 보통 임시 시설을 단기 임대해 써왔는데, 건물과 자원을 재활용하면 안정적인 연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새로 단장한 시설은 발굴 조사 동안만 운영한 뒤 추후 철거할 예정이다.
함안 가야리 유적은 아라가야의 왕성이 들어섰던 곳으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1587년 편찬된 '함주지'(咸州誌), 1656년 펴낸 '동국여지지' 등 조선시대 문헌 자료에는 이 일대가 옛 나라의 터(古國遺基)로 기록돼 있다.
그동안 발굴 조사를 거쳐 아라가야 지배층의 활동과 성을 쌓는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가 발견됐다.
최근에는 물을 저장해 사용한 흔적이 가야 문화권 최초로 확인되기도 했다.
연구소는 2018년부터 가야리 유적을 조사하고 있으나 전체 면적(23만1천497㎡) 대비 일부 구역으로, 향후 연구를 위해 시설 및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ye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