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현미경분석]'팀' 스웨덴, 견고하지만 단조롭다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17-12-04 17:51


ⓒAFPBBNews = News1

스웨덴의 기본 전술은 단순하다.

전형적인 '선수비 후역습'을 구사한다. 수비를 두텁게 한 뒤 양 측면을 활용해 득점을 노리는 것이 스웨덴의 전형적인 패턴이다. 과거 스웨덴이 토마스 브롤린, 토마스 달린, 헨리크 라르손, 프레드릭 융베리, 킴 쉴스트룀 등을 앞세워 화려한 축구를 펼친 적도 있지만, 빅리그에서 뛰는 스타급 선수들이 사라지며 '팀'을 강조하고 있다. 4-4-2를 전면에 내세운 얀 안데르손 감독은 세대교체 후 규율과 조직을 강화하며 스웨덴을 12년만에 월드컵에 진출시켰다.

'선수비 후역습'을 펼치는만큼 당연히 전술의 핵심은 수비다. 스웨덴의 포백은 견고하다. 이번 월드컵 예선에서도 10경기에서 9골만을 내줬다. '강호' 이탈리아와의 플레이오프 2경기에서도 한 골도 허용하지 않은 스웨덴 수비다. 물론 이탈리아의 공격이 지나치게 단조로웠지만, 분명한 사실은 스웨덴의 수비가 흔들리지 않았다는 점이다.


스웨덴 DF 린델로프 ⓒAFPBBNews = News1
수비의 핵심은 맨유에서 뛰는 빅토르 린델로프다. 올 여름 3500만파운드에 벤피카에서 맨유로 이적한 린델로프는 제공권이 뛰어난데다 운동능력이 좋다. 특히 빌드업 능력이 대단히 뛰어나다. 조제 무리뉴 맨유 감독이 린델로프 영입을 위해 직접 전화를 할 정도로 공을 들인 이유다. 수비 조율능력이 좋은 안드레아스 그란크비스트(크라스노다르)와의 호흡은 물이 올랐다. 린델로프가 적절히 커버해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란크비스트의 순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은 우리의 공략포인트가 될 수 있다.

안데르손 감독은 수비를 강조하지만 그렇다고 경직된 형태는 아니다. 좌우 윙백을 공격적으로 활용한다. 대개 수비를 두텁게 하는 팀은 좌우에도 수비적 성향의 풀백들을 포진시킨다. 하지만 안데르손 감독은 다르다. 루드윅 아우구스틴손(베르더 브레멘)-미카엘 루스티그(셀틱) 두 좌우 윙백의 오버래핑을 적극 활용한다. 아우구스틴손과 루스티그는 이번 유럽지역예선에서 각각 팀 내 어시스트 1, 3위를 기록하며 스웨덴 공격의 첨병 역할을 톡톡히 했다.

이 배경에는 스웨덴의 남다른 미드필드 운영 방식이 있다. 스웨덴은 미드필드를 '일(一)자'가 아닌 중앙으로 이동시킨 4-2-2-2에 가까운 형태로 운영한다. 물론 수비시에는 다시 플랫으로 퍼져 포백과 함께 두줄 수비를 구사하지만, 공격시에는 윙백에게 측면 공격을 맡기고 좌우 미드필더가 가운데로 이동한다. '에이스' 에밀 포르스베리(라이프치히)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다.


스웨덴 MF 포르스베리 ⓒAFPBBNews = News1
포르스베리는 왼쪽에 포진해 있지만 스웨덴의 실질적인 플레이메이커다. 쇨스트룀 은퇴 후 창의력이 급격히 떨어진 스웨덴의 미드필드진을 홀로 이끌고 있다. 안데르손 감독은 포르스베리의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의 소속팀인 라이프치히의 전술을 차용했다. 오른발잡이인 포르스베리는 왼쪽에서 가운데로 이동하며 패스와 슈팅 하는 것을 즐긴다. 물론 개인기와 크로스가 좋아 윙어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할 수 있지만, 포르스베리는 가운데로 이동하며 시야가 확보된 후 플레이 할 때 더 위력적이다. 이러한 전술로 포르스베리는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 도움왕을 차지했다.

스웨덴의 고민은 중앙 미드필더다. 세바스티안 라르손(헐시티)과 알빈 에크달(함부르크)은 공격 보다 수비에 장점을 보인다. 전형적인 수비형 미드필더 에크달 대신 공격에 힘을 실어줘야 하는 라르손은 날카로운 킥은 여전하지만 역동성이 눈에 띄게 떨어졌다. 안데르손 감독은 중앙을 오갈 수 있는 포르스베리와 빅토르 클래손(크라스노다르)을 좌우 측면에 배치해 이 약점을 상쇄했다. 아우구스틴손과 루스티그의 공격력도 배가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투톱에는 1m89의 올라 토이보넨(툴루즈), 1m84의 마르쿠스 베리(알 아인) 두 장신 공격수가 포진한다. 토이보넨과 베리는 몸싸움도 능한데다, 둘 다 장신치고는 스피드까지 있는 편이다. 일반적인 투톱 구성 요건인 '빅앤스몰'로 볼때 토이보넨이 빅, 베리가 스몰에 해당한다. 포르스베리가 공격을 만들어가지만, 경기가 풀리지 않을 경우 스웨덴은 롱볼 전략을 적극 구사한다. 토이보넨이 머리로 떨구고, 베리가 이를 주어먹는다. 베리는 오른발이 주발이지만, 왼발도 능하다. 베리는 이같은 패턴으로 지역예선에서 팀내 최다인 8골을 넣었다.


스웨덴 FW 베리 ⓒAFPBBNews = News1
전체적으로 견고하고, 조직의 완성도도 높은 스웨덴이지만, 패턴이 단조로와 막힐 시에는 이렇다 할 대안이 없다. 은퇴한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맨유)의 복귀설이 나도는 것도 이때문이다. 포르스베리는 순간 번뜩이는 찬스를 만들 수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경기를 풀어나가는데 능한 스타일은 아니다. 토이보넨과 베리 역시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유형의 공격수는 아니다.

이번 예선에서 스웨덴이 당한 3패 중 하나인 불가리아 원정(2대3)을 적극 참고할 필요가 있다. 스웨덴은 상대의 적극적인 압박에 고전했다. 단조로운 롱볼 위주의 공격을 펼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눈에 띈 것은 좌우 뒷공간이었다. 오버래핑에 나선 좌우 공간을 린델로프가 커버했는데, 도와줄 그란크비스트의 스피드가 느려 고전하는 모습이었다. 스웨덴이 한국을 상대로 승점 3점을 노리는 경기 운영을 펼칠 가능성이 높은만큼 적극적으로 오버래핑에 나서는 좌우 뒷공간은 우리가 노려야 할 핵심 포인트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