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계도 선거철, 선거인단 도입 후 변화는?

기사입력 2016-02-16 16:00


◇사진제공=대한축구협회

축구계에도 선거의 바람이 불고 있다.

국민생활체육 전국축구연합회(이하 생활축구연합회)와 통합을 추진 중인 대한축구협회가 정관을 개정했다. 축구협회는 16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임시 이사회와 총회를 잇달아 개최해 생활축구연합회와의 통합 이후 시행될 정관 개정안을 승인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대의원 확대 및 회장 선거인단의 신설이다. 대의원은 기존 각 시도축구협회장 16명 및 각급 연맹 회장 8명 등 24명으로 구성됐다. 하지만 이번 개정안을 통해 생활축구연합회 산하 시도 축구연합회 대표 17명(세종시 포함) 및 K리그 클래식 구단 대표 12명 등 29명이 추가되어 총 53명으로 확대가 됐다. 회장 선거인단은 53명의 대의원에 K리그 챌린지 구단 대표 18명 및 선수 대표 18명, 지도자 대표 18명, 심판 대표 5명, 한국 OB축구회 대표 1명을 더 추가, 총 106명으로 꾸려진다. 선수, 지도자, 심판 대표를 선출하는 방법은 오는 22일 축구회관에서 열릴 축구협회-생활축구연합회 통합 총회 이후 논의하기로 했다.

제53대 축구협회장 선거 일정도 앞당겨졌다. 당초 내년 1~2월 중 실시될 예정이었던 선거는 오는 9월 치러진다. 10월로 예정된 통합체육단체장 선거에 앞서 축구협회장 선출도 마무리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축구협회장 선거에 앞서 각급 연맹 회장 선거도 이뤄질 전망이다.

축구협회장 선거는 매번 뜨거운 논란거리였다. 축구협회 1년 예산이 1000억원으로 껑충 뛰었고 축구 관련 종사자가 10만명을 훌쩍 넘겼음에도 24명의 대의원 만이 선거권을 갖는 회장 선출 방식은 '그들 만의 리그'라는 비난을 면키 어려웠다. 전반적인 축구 현안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들려오는 개혁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선출 과정도 매끄럽지 못했다. 지지 후보를 둘러싼 반목과 대립이 이어졌다. 정치판에서나 들을 법한 '여권', '야권'이란 단어가 심심찮게 떠돌았다. 지난 2013년 1월 28일 3명의 후보와 경합 끝에 제52대 축구협회장으로 당선됐던 정몽규 축구협회장은 '축구계 소통과 화합'을 내걸며 선거인단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듬해 7월 문화체육관광부 주도로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협의회(이하 생체협)가 통합 작업에 착수하면서 축구협회도 '한국 축구 혁신 특별전담팀(TF·이하 축구혁신TF)'를 구성하며 자연스럽게 변화를 시작했다. 이번 대의원 확대 및 선거인단 도입은 축구혁신TF의 논의를 거쳐 골격을 갖춘 것이다.

선거인단 제도가 도입으로 그동안 축구협회장 선출마다 끊이지 않았던 논란은 어느 정도 가라앉게 될 전망이다. 특히 선수와 지도자, 심판 등 현장에서 활약하는 축구인들이 회장 선거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됐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선거권을 갖게 될 이들을 선출할 방식의 객관성과 구체성을 어떻게 담보하느냐와 이를 둘러싼 잡음에 대한 우려 해소가 새로운 숙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