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축구는 이란을 홈에서 잡지 못했다. 중국이 우즈베키스탄을 홈에서 제압해주었다. 한국이 31일 이란과 비기지 말고 승리했더라면 2018년 러시아월드컵 본선행을 확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은 이란과 무득점으로 비겼다. 수적 우세에도 이란의 단단한 수비벽을 뚫지 못했다. 한국 공격은 날카롭지 않았다.
신태용 감독은 이번 이란전을 앞두고도 정보 노출을 극도로 꺼렸다. 이번 우즈벡전도 끝까지 감추려고 할 것이다.
|
|
1선 공격진의 변화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란전에선 황희찬 원톱에 그 뒤를 손흥민 권창훈 이재성이 들어가 호흡을 맞췄다. 넷 다 움직임이 빠르고 많이 뛰었다. 압박도 잘 해줬다. 그러나 이란 수비 상대로 유효슈팅을 단 한개도 기록하지 못했다. 4명의 호흡이 잘 맞지 않았다. 준비기간이 짧은 탓도 있었다. 그러나 우즈벡전이라고 해서 여러 조건들이 바뀌는 건 아니다. 우즈벡 수비가 이란 만큼 견고하지 않다는 점은 위안거리가 될 수 있다.
|
신태용 감독이 이번 우즈벡전에서 변화를 줄 수 있는 곳은 공격진이다. 선택의 문제다. 장신의 공격수를 투입해 우즈벡 수비수들의 체력과 스피드를 떨어트린 후 후반에 빠른 공격수로 승부를 걸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톱 선발로는 이동국과 김신욱을 고려해야 한다. 황희찬은 후반 조커로 들어가야 한다. 이동국과 김신욱의 머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킥이 정확한 염기훈 남태희 카드를 선발로 기용하는 걸 고려할 수 있다. 투지와 전방 압박이 좋은 이근호를 원톱으로 쓰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