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제22회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이 카타르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최초로 '중동에서 열리는 겨울 월드컵'에는 각 대륙을 대표하는 최고의 32개팀이 참가해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한 달간 열전을 펼친다.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와 포르투갈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는 화려한 경력에 월드컵 트로피를 새길까? 돌풍의 주인공, 이변의 희생양은 누가 될까? 볼거리, 즐길거리 풍부한 월드컵을 앞두고 A조부터 H조까지 월드컵 전력분석 시리즈를 연재한다.<편집자 주>
|
우선, A조에는 '오렌지 군단' 네덜란드가 있다. 92년 월드컵 역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전통강호'다. 네덜란드는 1974년, 1978년, 2010년 세 차례나 준우승을 차지했다. 월드컵 우승 없이 가장 많이 '2위'를 한 팀이다. '전설' 요한 크루이프조차 끊지 못한 준우승의 악몽, 그리고 2018년 러시아월드컵 유럽예선 탈락의 수모를 씻기엔 카타르는 최적의 장소다.
네덜란드 출신의 백전노장 사령탑 루이스 판할은 조별리그 대진 추첨 결과가 나오자마자 콧노래부터 불렀을 것이다. 이번 대회 최약체로 꼽히는 카타르를 비롯해 에콰도르, 세네갈과 같은 조에 속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의 10월 FIFA랭킹은 8위로 세네갈(18위)-에콰도르(44위)-카타르(50위) 보다 높다. A조 FIFA랭킹 1위와 3위는 36계단 차이다. 8개조를 통틀어 간극이 가장 심하다. 네덜란드 입장에선 가장 '무난한' 조에 속했다고 볼 근거다.
|
|
개최국 카타르로선 쉽지 않은 도전에 나선다. 이번 대회 최약체 중 하나다. 카타르가 기댈 구석은 기후, 홈팬 응원 등 개최국 어드밴티지다. 개최국 징크스에도 관심을 둔다. 월드컵에서 16강 토너먼트 제도가 안착한 1986년 멕시코월드컵부터 지난 러시아월드컵까지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한 팀 중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건 2010년 남아공월드컵의 개최국 남아공 뿐이다.
|
|
데파이는 월드컵 유럽예선에서 12골을 터뜨린 최다 득점자였다. 지난해 A매치 16경기 17골, '국대' 경기에서 더욱 도드라진다. A매치 81경기에서 42골을 넣은 데파이는 네덜란드 통산 득점 1위 로빈 판 페르시(은퇴, 50골)를 8골차로 추격했다. 그는 월드컵 데뷔 무대였던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선 약관의 나이로 2골을 터뜨린 기억이 있다. 도니얼 말런(도르트문트), 코디 각포(PSV에인트호번), 퇸 코프메이너르스(아탈란타), 덴젤 덤프리스(인터밀란) 등 젊은 자원들이 데파이를 지원 사격할 예정이다.
세네갈에선 '월클' 마네와 함께 '세네갈의 벽' 칼리두 쿨리발리(첼시)를 지켜볼 필요가 있고, 에콰도르에선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브라이턴의 돌풍 주역인 미드필더 모이세스 카이세도와 수비수 페르비스 에스투피냔을 예의주시해야 한다. 카타르는 센터 포워드 알모에즈 알리(알두하일)의 발끝을 주목하자. 2020년 11월 한국과의 친선경기서 골을 터트린 알리는 A매치에서 41골(86경기)을 기록 중이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