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덜트를 노린 펀(Fun) 마케팅이 유행이다.
이 제품은 달걀 모양 포장에 초콜릿과 함께 초소형 장난감을 담고 있는데, 이 장난감을 종류별로 수집하려는 아이 뿐 아니라 성인들까지 구매에 대거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편의점 씨유(CU)에서만 판매하는 오스트리아의 캔디 제조업체 페즈(PEZ)의 '캔디 디스펜서(3500원)'도 뚜껑을 열 때마다 캔디가 하나씩 튀어나오는 디스펜서(배급기) 인기 덕에 '대박'을 터뜨린 상품이다. 스타워즈 등 다양한 캐릭터 콘셉트의 디스펜서가 나올 때마다 키덜트 등 소비자들이 열광하고 있다.
식품업체 뿐 아니라 유통업체들도 키덜트 상품, 캐릭터 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씨유(CU)는 국내 최대 블록 제조사 옥스퍼드와 함께 작년 9월부터 지난달까지 '달리는 씨유', '빵구워씨유' 등 편의점을 형상화한 블록 시리즈 9가지를 내놨다. 이 제품은 출시 때마다 1주일 안에 준비된 물량이 모두 소진됐고 한정판을 놓친 소비자들은 중고시장에서 웃돈을 얹어 구할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아울러 씨유는 지난 8일 롯데제과와 함께 유명 일본 캐릭터 '리락쿠마' 콘셉트의 세 가지 종류 빵을 출시했다. 특히 이들 빵에는 리락쿠마 특유의 동작과 표정을 담은 40가지 스티커 중 하나가 들어있어, 아이들뿐 아니라 키덜트의 수요가 많을 것으로 씨유는 기대하고 있다.
세븐일레븐도 최근 비가 많은 장마철을 맞아 인기 캐릭터 '카카오 프렌즈(튜브·무지·피치·네오)'를 새겨넣은 네 종류의 3단 우산, 개그 방송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의 캐릭터 '개콘 프렌즈'를 담은 개콘 우유 등 캐릭터 상품을 대거 출시했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키덜트, 펀 콘셉트가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자리 잡으면서 먹을거리 상품군에서도 재미를 강조한 상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