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남성흡연율 다시 40%대…'담뱃값 인상 통한 금연정책 실패' 지적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7-11-06 13:46


담뱃값 인상으로 떨어졌던 흡연율이 지난해 상승 반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2015년 담배 가격을 대폭 올려 흡연율을 낮추겠다는 정부의 금연정책이 사실상 실패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6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6년)에 따르면, 19세 이상 전체 성인흡연율은 2016년 23.9%로 2015년 22.6%보다 1.3% 포인트 올랐다.

성별로는 남자흡연율은 2015년 39.4%에서 2016년 40.7%로 1.3%포인트, 여자 흡연율은 2015년 5.5%에서 2016년 6.4%로 0.9%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그동안 전반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던 국내 흡연율은 2015년 1월 담뱃값 2000원 인상 이후 큰 폭으로 내렸다.

특히 2015년 한국 성인 남자 흡연율(39.4%)이 30%대로 내려간 것은 흡연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1998년 이후 처음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남자흡연율이 40.7%로 반등함에 따라 가격 인상 효과가 1년도 채 못간 것이다.

흡연자들을 중심으로 일각에서는 "담배 가격 인상명분이 흡연율을 낮추겠다는 거였는데 효과는 전혀 없고, 세수만 7조에서 12조로 늘어나 결국은 서민증세가 되고 만 것"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초 복지부는 담뱃값 대폭 인상으로 성인 남자흡연율이 2016년까지 35%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복지부는 남자흡연율을 다시 30%대로 낮추기 위해 경고그림 부착 등의 비가격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뿐만아니라 금연구역 확대 정책에 따라 당장 12월 3일부터 당구장과 스크린골프장 등 실내체육시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해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할 계획이다.

또한 학교 주변 편의점을 시작으로 담배광고를 못 하게 하고, 담배에 박하향 등 가향물질을 첨가하지 못하게 입법화에 나설 예정이다. 담배 유해성분을 공개하고 14개비 소포장을 금지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9세 이상 전체 성인의 현재 전자담배사용률(최근 한 달간 전자담배를 사용한 적이 있는 비율)은 2016년 2.3%로 2015년 4.2%보다 1.9%포인트 떨어졌다.

또 청소년건강형태 온라인조사(2017년) 결과, 남자 청소년(중고등학생) 흡연율도 2014년 14.0%에서 2015년 11.9%, 2016년 9.5%, 2017년 9.5% 등으로 10% 내외 수준을 유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축구토토 승무패 적중, NBA 필살픽 다수 적중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