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 중 기업 신용대출이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자금공급인 '생산적 대출'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대출 기준으로 총대출 대비 생산적 대출 비중을 보면 2010년 말에는 25.2%였지만 지난해 말에는 16.2%까지 하락했다. 또 생산유발 기준으로 보면 2011년 말에는 45.7%로 당시 기업대출 비중(48.8%)과 거의 비슷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37.1%로 떨어졌고, 기업대출 비중(46.7%)과도 벌어졌다. 일자리 창출 기준으로는 2010년 말∼2012년 말까지 44%대를 유지하다가 급격히 하락 폭이 커지더니 지난해 말에는 37.8%까지 떨어졌다.
금감원은 "생산유발 효과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동산업 대출이 대폭 증가하면서 생산적 대출 비중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2014년 이후 기업구조조정이 본격화한 데다 가계대출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등 안전자산 위주로 여신정책을 변경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