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여파가 채용시장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일단 기업들의 채용공고에 무조건 입사지원을 하고 보는 '묻지마 지원자'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올 하반기 신입직 구직활동을 한 구직자 1415명을 대상으로 '입사지원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절반 정도인 50.5%가 '묻지마 지원, 문어발식 지원(최대한 많은 곳에 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희망 기업에만 소신 지원했다'는 응답자는 49.5% 였다.
소신 지원자들은 '취업 희망 기업에만 집중하기 위해(기업분석, 입사지원에 시간이 많이 들어서)(61.0%, 복수응답)' 묻지마 지원 및 문어발식 지원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취업 희망 기업, 직무가 명확해서(40.1%)', '최종합격 확률이 낮을 것 같아서(20.7%)', '기업에 피해를 주는 행동인 것 같아서(15.8%)', '기업 차원에서 묻지마 지원자는 필터링을 한다는 정보를 접해서(11.2%)' 등의 이유로 묻지마 지원, 문어발식 지원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묻지마 지원을 한 취준생들의 경우는 '막막한 마음에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일단 여기저기 입사지원서를 넣었다'는 응답이 76.4%(복수응답)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기업들의 채용공고가 적어서 일단 보이면 무조건 지원(39.4%)', '취업 공백기간을 줄이기 위해서(17.7%)', '어떤 기업, 직무가 나와 맞는 지 모르겠어서(14.1%)', '이미 취준생 다수가 묻지마 지원을 하고 있어서(13.3%)', '인적성, 면접전형 등을 경험해 보기 위해서(10.3%)' 등의 이유로 문어발식 지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