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치과병원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진료정보교류(HIE)사업'에 치과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참여해 오는 12월 적용을 앞두고, 함께 할 의료기관을 추가로 모집한다.
하지만 진료정보교류사업을 통해 환자는 기존 의료기관에서 진료기록을 발급하는 불편함 없이도 진료기록이 공유되어 검사와 투약 등의 중복 처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의료기관에서는 '진료정보의 접근성' 측면에서 물리적 거리나 시간적 요인으로 인한 제한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한 진료기록을 참고하여 환자 중심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기존 의료기관에서는 중증·고난이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의뢰서나 회신서 작성을 위한 행정 절차가 간소화되며, 제출해야하는 서류의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서울대치과병원 박희경 의료정보·빅데이터센터장(구강내과 전문의)은 "경증 환자는 각 지역 협력기관으로 회송하고, 중증·고난이도 환자는 본원에서 의뢰받아 진료함으로써 발생하는 환자 분산효과를 통해 치의료계의 동반 성장 효과를 기대한다"며, "특히 협력의료기관에게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진료정보교류사업의 서울대치과병원 참여의료기관임을 인증하는 협약증서와 현판, 표준 교류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원이 제공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치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제공 업체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주)가 해당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스템임플란트(주)에서 개발된 '원클릭', '하나로', '두번에'에 해당 기능이 적용될 예정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