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경기도가 굴착 공사 현장에 지하 안전 전문가를 투입해 점검하는 '지하안전지킴이' 운영을 강화하고 지반탐사(GPR 탐사) 장비를 구입하는 시군에 예산을 지원하는 등 지하 안전 확보에 나선다.
최근 서울 강동구 땅꺼짐(싱크홀) 사고와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등으로 지하 안전에 대한 도민 불안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특별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도는 전국 최초로 2020년부터 시행 중인 지하안전지킴이 운영을 강화한다.
지하안전지킴이는 토질·지질·구조 등 지하 안전 전문가 40여명으로 구성돼 10m 이상 굴착 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지하 안전을 평가하고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지반 침하 사고 취약 시기인 해빙기(3~4월), 우기(6월), 집중호우기(9월) 등에 연간 3차례 이상 점검하고 시군 담당자를 대상으로 연간 2회 실무 교육도 맡는다.
도는 지하안전지킴이 개념과 운영 근거를 조례에 명시한 '지하안전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이 지난 15일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지킴이의 현장 자문 대상과 범위를 한층 확대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도는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지하 시설물 공사 관련 기업 등 6곳과 2023년 구성한 '경기도 지하 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상·하반기 정기 운영에서 수시 운영으로 확대하고 시군에도 유사 협의체를 설치·운영하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군이 GPR 장비를 구입할 때 대당 최대 4억원까지 도비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도내에는 현재 GPR 장비가 1개 시에만(1대) 있으며, 대부분 시군은 용역업체에 의뢰해 GPR 탐사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도는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대형 공사장 주변 노후 상하수관 점검을 지원하고, 누수로 인한 정비 시급지역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우선으로 예방 조치할 방침이다.
goals@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