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힘찬병원(대표원장 이수찬) 조사에 따르면 무릎 인공관절 수술환자의 평균 연령이 18년 전에 비해 약 6세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로봇 수술기가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다. 고령환자의 수술에서 가장 위험한 요인은 부작용이나 합병증이다. 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출혈량을 줄이는 게 관건이다.
힘찬병원 관절의학연구소 조사 결과, 로봇 수술로 출혈량은 약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힘찬병원이 2020년 이후 로봇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6661명(1만 298건)을 조사해 보니 80세 이상의 환자가 706명으로 총 10.6%를 차지했다. 이중 90세 이상이 7명으로 이들 대부분 특별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이 없었다.
로봇 수술의 정확도는 인공관절의 수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관절은 마모나 부식 등으로 수명이 다하면 재수술을 해야 하는데, 재수술은 첫 수술보다 난도가 높고 수술 시간도 오래 걸린다. 특히 고령 환자의 경우 기저질환 등으로 인해 재수술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
현재 인공관절의 수명은 20년 이상으로 보고 있다. 실제 힘찬병원이 2006년에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94.2%(97명)가 약 19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수술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했다. 로봇 수술로 인공관절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게 되면 수술 후 인공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마모를 늦춰 인공관절을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남창현 의무원장은 "인공관절 수술 후 통증과 관절기능이 개선됨으로써 활동량이나 운동량이 많아지면서 근육량이 늘고, 골밀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처럼 인공관절 수술은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힘찬병원이 작년 11월 SCIE급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12개월까지 근육량과 골밀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한편, 힘찬병원은 2006년 8월 개원 이래 2024년 8월까지 18년간 총 5만 2473건에 달하는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했다. 매년 평균 3000건(약 2915건)에 달하는 수술을 꾸준히 시행한 셈이다. 특히 작년 12월 기준 국내 인공관절 수술 로봇의 약 63%를 차지하는 마코로봇과 로사로봇을 이용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1만 3000건 이상 시행해 단일병원으로 국내 최다 수술 기록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중 2023년과 2024년 시행한 마코로봇 수술 건수는 세계 최다로 알려졌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