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에 들어선 국내 첫 액화수소플랜트가 준공된 지 2년이 거의 다 돼 상업운전에 들어간 가운데 생산된 수소 의무 구매를 두고 시가 막대한 재정 부담을 져야 할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하이창원은 진흥원과 설비 구축을 맡은 두산에너빌리티가 공동 출자한 특수목적법인이다.
올 초 하이창원이 플랜트 미가동 장기화에 따른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처한 이후 대주단이 하이창원의 경영권을 확보하고 현재 직접 설비를 운영하겠다고 나섰다.
문제는 사업 대출 과정에서 액화수소플랜트가 가동을 시작하면 진흥원이 하루 5t 규모의 액화수소를 의무 구매하기로 확약서를 제공했다는 데 있다.
진흥원은 생산된 수소를 활용할 수요처도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태여서 금액으로 환산하면 하루 8천400만원, 연간 300억원 상당을 지급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그러나 시 출연기관인 진흥원은 이같은 재정부담을 이행할 여력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막대한 부담을 시가 져야 할 것이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는다.
더불어민주당 문순규 시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액화수소 생산을 시작하면 시는 막대한 재정부담을 지게 된다"며 "1천억원 이상의 국비가 투입된 수소산업 기반이 무산되지 않게 시가 대주단과의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액화수소플랜트 사업을 정리하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는 회의적인 시선이 이어진다.
국민의힘 박승엽 시의원은 지난달 20일 열린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과거 행정의 과오를 덮기 위해 (이대로) 진행하는 게 맞는가. 아니면 (행정이) 갚아야 할 돈을 660억 정도로 보는데, 3∼4년 정도 갚고 이 사업 실패를 선언하는 게 맞는가"라고 물었다.
당시 창원시 미래전략산업국장은 "실패, 성공을 단정짓기 곤란하다"며 "앞으로 관련 기관들로부터 어떻게 조금씩 협조를 구하는지, 정부 정책적인 방향이 어떻게 될 건지에 따라서 이 사업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시와 진흥원은 상업운전 개시에 따른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ks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