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 연방의회의 친한파 의원들과 한인 단체들이 23일(현지시간) 한국전쟁 정전(1953년 7월 27일) 72주년을 기념하며 굳건한 한미관계를 가능하게 한 참전용사들에 감사를 표했다.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이 행사는 한국계인 앤디 김(민주·뉴저지) 상원의원, 영 김(공화·캘리포니아)·매릴린 스트리클런드(민주·워싱턴)·데이브 민(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 의회 한인 보좌관 협회(CKASA)가 명예 공동후원자로 이름을 올렸다.
또 한국계는 아니지만 한국과 가까운 마크 타카노(민주·캘리포니아), 주디 추(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이 참석했다.
영 김 의원은 "난 하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동맹과 우리 미래 세대를 지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면서 "누가 청와대를 차지하든, 누가 백악관을 차지하든" 한미동맹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데이브 민 의원은 참전용사의 희생이 없었다면 한국이 지금과 같은 선진국으로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한국은 미국적인 가치의 훌륭한 모범이며 우리가 한미 간 72년의 긴밀한 관계를 축하하면서 그 점을 잊지 말자"라고 당부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한미의원연맹 소속 의원 일부도 이날 행사에 참석했으며, 한국 정부를 대신해 참전용사들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을 수여했다.
한미의원연맹 공동단장인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대한민국 국회는 앞으로도 미국 의회와 함께, 여러분과 함께 한미동맹을 더욱 굳건히 다져나가겠다"면서 "참전용사들의 위대한 희생과 헌신이 언제나 존경받고 기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공동단장인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참전용사들이 없었다면 한국에 자유도 번영도 없었다"면서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우리 함께 앞으로 나아가자. 함께하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행사 참석자들은 오후 7시27분이 되자 7월 27일 정전협정일을 기리는 차원에서 전기 촛불을 점등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기원했다.
blueke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