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일 경북도와 포항시에 따르면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사업은 2008년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됐으나 17년이 지난 현재까지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영일만 횡단대교는 포항∼영덕 고속도로 건설안에 포함된 포항 앞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다.
전체 구간은 포항 북구 흥해읍 남송리 일원에서 남구 동해면 약전리까지 18㎞, 왕복 4차로로 계획됐다.
총사업비는 약 3조2천억원이다.
도와 시는 영일만 횡단대교 북쪽 끝에는 올해 말 개통하는 포항∼영덕 고속도로, 남쪽 끝에는 기존 울산∼포항 고속도로와 연결함으로써 물류나 관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경제적 타당성과 군함 통행 문제 등을 검토하는 과정이 길어지면서 아직 구체적인 노선조차 확정되지 않았다.
도와 시는 영일만 횡단대교 가운데에 인공섬, 북쪽에는 해상교량을 만들고 남쪽에는 해저터널을 건설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중앙정부는 예산 등을 이유로 북쪽에는 해상교량을 설치하되 남쪽에는 형산강 둑을 따라 도로를 만들어 울산∼포항 고속도로와 연결하는 안을 제시했다.
노선을 놓고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이견을 보이면서 포항∼영덕 고속도로는 영일만 횡단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30.9㎞ 구간의 공사만 진행되고 있다.
도와 시는 2023년부터 꾸준히 정부 예산에 설계비 등을 반영했지만 실질적인 공사에 들어가지 못했다.
급기야 올해 확보된 예산 1천821억원은 정부 추경 편성 때 모두 삭감됐다.
그러는 사이 올해 포항∼영덕 고속도로가 준공을 앞두면서 자칫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이 내년에 신규사업으로 추진될 상황에 놓였다.
도와 시는 이럴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 등을 다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고 통과도 확신할 수 없다고 본다.
이에 도와 시는 최근 회의를 열고 국회와 정부에 사업 기간 연장, 조속한 노선 결정을 촉구하기로 했다.
김학홍 도 행정부지사는 "올해 안에 사업이 확정돼 내년에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는 13일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은 지난 수년간 정치인 말을 믿고 해당 사업이 곧 착공될 것이라 믿었지만 노선이 지금까지도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제는 노선 결정이 필요한 만큼 정부는 해상 경유 원안 노선을 확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sds123@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