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아레는 일상생활에서 모기장을 두 개 겹치거나, 화면을 카메라로 촬영할 때 생기는 물결 무늬가 대표적인 예다.
일상에서는 착시 현상에 불과하지만 그래핀과 같은 나노 세계에서는 무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나노 소자, 양자 재료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만 원자는 자리가 고정돼 있어 무늬를 바꾸기 쉽지 않았다.
연구진은 MOF의 높은 설계 자유도를 활용해 분자 단위로 무늬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MOF는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가 그물망 형태로 결합한 나노 물질로, 유기물의 종류와 길이를 바꿔 그물망의 크기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연구진은 종이처럼 얇은 MOF 층을 만들고, 위아래의 MOF 층이 엇갈릴 수 있도록 다른 각도로 겹쳐 쌓았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두 MOF 층의 엇갈린 각도와 유기 분자의 길이 등에 따라 무늬의 형태와 주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최원영 교수는 "MOF는 분자 단위로 구조를 설계할 수 있어 마치 다이얼을 돌리듯 무늬의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며 "트위스트로닉스(twistronics·무아레를 이용해 전자 특성을 조절하는 기술)나 새로운 종류의 양자 물질 활용의 물꼬를 열었다"고 말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지난 13일자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yongtae@yna.co.kr
<연합뉴스>